본문 바로가기
투자 전략 연구/퀀트 투자 전략

VAA를 보완한 DAA전략 (feat. 바우터 켈러)

by AutoTrader 2022. 9. 30.
반응형

앞서 소개한 VAA전략의 단점은 50년간 평균적으로 총자산의 60% 정도를 안전자산에만 투자했어야 한다. 너무 보수적이어서 상승장에서 손가락 빨고 있었을 확률도 높다는 큰 단점이 있다.

 

VAA 공격형 전략(feat. 바우터 켈러)

VAA 공격형(Vigilant Asset Allocation Aggressive) 전략은 글로벌 금융 시장의 상황이 나빠지면 더 빠르게 현금으로 전환하는 전략이다. 켈러가 만든 전략 중 하나이다. 영구포트폴리오를 개

sys-stock.tistory.com

또한 과거보다 채권 수익률이 점점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캘러는 2018년 DAA라는 새로운 전략을 개발한다. 캘러는 카나리아 자산군을 도입해 이 자산군의 모멘텀 스코어가 0이면 안전자산 군으로 도망가는 전략이다.

투자 방법은 12개 ETF 중 최근 많이 오른 ETF를 사는 상대 모멘텀을 사용하고, 모멘텀 측정 방법은 VAA와 마찬가지고 1,3,6,12개월 모멘텀 스코어를 사용한다.

카나리아 자산군은 개발도상국(VWO), 미국혼합채권(BND)이며, 모멘텀 스코어가 둘 다 0 이하면 안전자산으로, 한 개만 0 이하면 50%는 공격형 자산군으로, 두 개 모두 0 이상이면 100% 공격형 자산군으로 비중을 두는 전략이다.

 


따라서 VAA보다는 보수적인 면이 완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투자전략은 아래와 같다.

DAA(Defensive Asset Allocation) 전략
포함 자산: 공격형 자산: 미국 대형주SPY, 나스닥QQQ, 미국 소형주 IWM, 유럽 주식VGK, 일본 주식EWJ, 개발도상국 주식EEM, 미국 부동산 리츠VNQ, GLD, 원자재DBC, 하이일드채권HYG, 회사채LQD, 미국 장기채TLT 12 ETF
안전자산: 미국 회사채LQD, 미국 중기국채IEF, 미국 단기국채SHY
매수 전략 : -카나리아 자산군(WO, BND)으로 공격형 자산의 비중을 결정
*VWO, BND
둘 다 모멘텀 스코어가 0 이상: 100%,
*VWO, BND
중 하나가 0이상: 50%,
*VWO, BND
둘 다 0 이하: 0%
모멘텀 스코어: (12×1개월 수익)+(4×3개월 수익)+(2×6개월 수익)+(1×12개월 수익)
-
안전자산 비중을 가장 모멘텀 스코어가 높은 안전자산에 투자
-
안전자산에 투자하지 않는 자금은 상대 모멘텀을 적용해 6ETF에 투자
-
매월 말 각 ETF의 모멘텀 스코어 계산, 가장 높은 6 ETF에 동일한 금액 투자
매도 전략: 1회 리밸런싱

그럼 현재 2022.9.30일 개발도상국(VWO), 미국혼합채권(BND)의 모멘텀 스코어를 알아보자.

 

카나리아 자산군 : 개발도상국(VWO) 모멘텀 스코어

구간 현재(22.9.30)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VWO가격 36.54 40.5869 40.6973 41.5401 48.1817
구간 수익률   -10% -10% -12% -24%
구간 배수   12 4 2 1
스코어   -1.20 -0.41 -0.24 -0.24
모멘텀 스코어         -2.09

카나리아 자산군 : 미국혼합채권(BND) 모멘텀 스코어

구간 현재(22.9.30)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BND가격 71.5 74.444 74.8048 78.564 83.5242
구간 수익률   -4% -4% -9% -14%
구간 배수   12 4 2 1
스코어   -0.47 -0.18 -0.18 -0.14
모멘텀 스코어         -0.98

 

둘 다 0 이하이다. 안전자산으로 도망가자! 그런데 VAA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안전자산 채권 쪽도 사정이 좋지 않다. 그냥 현금이 답이거나 안전자산에 달러 자산, 금도 포함하여 모멘텀 스코어 측정하여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도록 하자.

 

이 전략도 1달에 한번 리밸런싱이 상당히 귀찮다. DAA, LAA, 듀얼모멘텀 전략은 자동매매(python)로 해볼만한 것 같다. 국내계좌에서 국내에 상장된 해외ETF로 구성하는 방법도 찾아봐야겠다.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 듀얼 모멘텀 전략

게리 안토니치가 개발한 듀얼 모멘텀이란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비드 리카도가 말한 "손실은 자르고 이익은 달리게 놔둬라."라는 말처럼 오르는 자산에 들어

sys-stock.tistory.com

 

영구포트폴리오를 개선한 LAA 전략(feat. 바우터 켈러)

LAA 전략을 개발한 바우터 켈러는 환갑의 나이에 2012년부터 투자를 시작하고, 동적 자산 배분에 대한 논문을 쓰기 시작하여 9개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고 한다. 켈러의 LAA(Lethargi

sys-stock.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