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A 전략을 개발한 바우터 켈러는 환갑의 나이에 2012년부터 투자를 시작하고, 동적 자산 배분에 대한 논문을 쓰기 시작하여 9개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고 한다.
켈러의 LAA(Lethargic Asset Allocation) 전략이란? 영구 포트폴리오는 주식, 채권, 현금, 금에 각 25% 고정하지만 LAA전략에서 약간 다른 점은 자산의 75%는 주식, 채권, 금에 고정하고 현금 25%를 상승 국면에는 나스닥을 하락 국면에는 미국 단기국채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해리 브라운의 영구포트폴리오 소개 및 백테스트
영구 포트폴리오는 1980년 해리 브라운이라는 천재가 개발한 MDD를 20% 이하로 제한하는 40년이 넘은 투자전략이다. 해리 브라운은 1970년에 달러화가 평가절하될 것을 예측하였으며 금,
sys-stock.tistory.com
LAA 전략은 영구포트폴리오보다 연복리수익률을 8%에서 10% 정도로 개선하였다 하지만 MDD는 -12%에서 -15%로 증가하였다. 그래도 국면에 따라 조정하여 우리는 조금 더 재미있게 투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 LAA 전략
강환국 작가의 "거인의 포트폴리오"를 참고하였으며, 전략은 아래와 같다.
투자전략 : LAA(Lethargic Asset Allocation) | |
기대 연복리수익률 | 10% |
포함자산 : | -고정 자산 : 미국 대형가치주IWD, 금GLD, 미국 중기국채IEF -타이밍 자산 : 나스닥QQQ, 미국 단기국채SHY |
매수전략 : | - 자산의 각 25%를 미국 대형가치주, 금, 미국 중기국채에 투자 및 보유 - 자산의 나머지 25%는 나스닥 또는 미국 단기국채에 투자 ·요건1) 미국 S&P 500 지수 가격이 200일 이동평균보다 낮거나 ·요건2) 미국 실업률이 12개월 이동평균보다 높은 경우 요건1) 또는 2)를 충족하면 미국 단기국채에 투자 ·그렇지 않을 경우 나스닥에 투자 |
매도 전략 : | 연 1회 리밸런싱(고정자산), 월 1회 리밸런싱(타이밍 자산) |
매수전략에서 미국 S&P 500 지수의 200일 이동평균과 가격 비교를 통해 상승 하강 국면을 확인해보도록 하자. 데이터는 아래 표와 같으며 9월은 아직 지나지 않아 데이터에서 제외하였다. 미국 S&P 500 지수의 200일(6개월) 이동평균 가격은 4110.86이며, 종가는 3995로 이동평균 가격보다 낮음을 확인하였다. 요건1)을 충족함을 알 수 있다.
Date | Open | Close | Volume |
2022-03-31 | 4363.14 | 4530.41 | 61901084404 |
2022-04-30 | 4540.32 | 4131.93 | 49207871214 |
2022-05-31 | 4130.61 | 4132.15 | 55290922873 |
2022-06-30 | 4149.78 | 3785.38 | 52940189186 |
2022-07-31 | 3781 | 4130.29 | 44918196307 |
2022-08-31 | 4112.38 | 3955 | 46920810234 |
미국 실업률이 12개월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2개월 평균 실업률은 3.91%이며 9월 2일 실업률은 3.70으로 평균 실업률보다 낮음을 알 수 있다. 요건2)는 충족되지 않았다. 실업률이 낮아 경기침체와는 거리가 멀다고 연준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연준은 앞으로 금리를 자신감 있게 올려 인플레이션을 잡으려고 할 듯 하다. 이는 앞으로 하강국면이 지속된다는 이야기 이다.
발표일 | 시간 | 실제 | 예측 | 이전 |
2022년 09월 02일 (8월) | 21:30 | 3.70% | 3.50% | 3.50% |
2022년 08월 05일 (7월) | 21:30 | 3.50% | 3.60% | 3.60% |
2022년 07월 08일 (6월) | 21:30 | 3.60% | 3.60% | 3.60% |
2022년 06월 03일 (5월) | 21:30 | 3.60% | 3.50% | 3.60% |
2022년 05월 06일 (4월) | 21:30 | 3.60% | 3.50% | 3.60% |
2022년 04월 01일 (3월) | 21:30 | 3.60% | 3.70% | 3.80% |
2022년 03월 04일 (2월) | 22:30 | 3.80% | 3.90% | 4.00% |
2022년 02월 04일 (1월) | 22:30 | 4.00% | 3.90% | 3.90% |
2022년 01월 07일 (12월) | 22:30 | 3.90% | 4.10% | 4.20% |
2021년 12월 03일 (11월) | 22:30 | 4.20% | 4.50% | 4.60% |
2021년 11월 05일 (10월) | 21:30 | 4.60% | 4.70% | 4.80% |
2021년 10월 08일 (9월) | 21:30 | 4.80% | 5.10% | 5.20% |
요건1)은 이동평균 가격보다 낮아 하락추세임을 확인 하였으며, 미국 실업률은 아직 평균 실업률보다 낮음으로 요건2)는 충족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LAA 전략에 따르면 현재(2022년 9월)는 현금 25%의 타이밍 자산은 미국 단기국채에 투자해야 한다. 다만 미국 단기국채 SHY도 박살 나고 있기 때문에 타이밍 자산도 모멘텀 스코어를 구해서 마이너스 수익률일 때는 들어가지 않고 달러 현금으로 들고 있어야 한다.
영구포트폴리오는 연 1회 리밸런싱으로 비중조절을 하다 보면 상승장의 수익률을 바라만 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실감을 LAA 전략으로 월 1회 리밸런싱하면 우리의 투자가 조금 더 활력을 얻을 수 있을 듯하다.
LAA 전략을 국내 ETF로 구성하는 방법은 다음글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퇴직연금계좌에서 LAA 전략 포트폴리오 종목 구성하기
개인 연금저축계좌는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투자하고 있으며, 퇴직 연금계좌에서는 영구포트폴리오를 개선한 LAA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두 전략에 대한 글은 아랫글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연금
sys-stock.tistory.com
'투자 전략 연구 > 퀀트 투자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형주 + 저PBR, PCR, PER, PSR 전략(feat. 유진파마) (0) | 2022.09.28 |
---|---|
NCAV + 핼러윈 전략(feat. 벤자민 그레이엄) (0) | 2022.09.27 |
해리 브라운의 영구포트폴리오 소개 및 백테스트 (0) | 2022.09.20 |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 듀얼 모멘텀 전략 (0) | 2022.09.18 |
강세장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9월) (0)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