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을 차트와 사케다 전법의 창시자인 혼마 무네히사는 1717~1803년 에도시대 사람입니다. 데와의 텐구(귀신같은 존재), 거래의 신으로 불릴 정도의 매매술을 발휘한 상인이였습니다. 1700년대에 서양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쌀 선물시장이 있었다는 것도 놀랍지만, 그 시대에 캔들차트를 고안하고 매수매도의 시기를 판단하는 사카다 5법을 정리한 통찰력을 보면 데와의 텐구(귀신같은 존재)로 불릴 만 합니다.
삼위의 방책 (혼마 무네히사)
거래는 시작이 중요하다. 시작이 나쁘면 이후 반드시 어긋나게 된다.
2) 거래를 서둘러 진행하지 말 것이며, 서두르면 시작이 나쁜 것과 마찬가지다. 매수매도 공히 오늘만큼 좋은 시장은 없다고 생각될 때 삼 일을 기다려라. 이것이 방책이다.
1) 쌀의 유통을 생각하고, 가격의 천장과 바닥의 정도를 생각하여 매매할 것이다. 이것이 삼위의 방책이다.
3) 천정 가격과 바닥 가격을 산출할 수 없는 동안은 몇 달이고 유보하고, 예상이 실현될 때를 생각하여 매매해야 한다. 거래를 서두르지 않는다는 것은 천정 가격과 바닥 가격을 보는 것이다.
4) 천정과 바닥을 알 때 이운에 이르러 손실이 없는 것이다. 쌀로 이익을 얻고자 할 때는 무리한 욕심을 금해야 할 것이다.
*삼위란 : 삼위란 가격의 바닥과 천장 그리고 중간을 말한다.
1) 쌀의 유통을 생각하고, 가격의 천장과 바닥의 정도를 생각하여 매매하라.
혼마 무네히사는 쌀의 공급과 수요 철저히 분석하고 도표화하였습니다. 우리는 도표화된 거래량과 가격을 매일 볼 수 있으며 분석도 가능합니다. 그럼 어떻게 분석해야 할까?
여기서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 대입하여 돈의 유동성을 분석하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쌀을 돈으로 바꿔 읽어보면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의 메시지와 공통점이 많습니다. 즉 투자 전 처음 우리가 해야 할 1단계는 돈의 유동성을 생각하고 국면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국면을 먼저 생각하고 가격을 본다면 정확하지 않지만 천장과 바닥의 정도를 대략 알 수 있습니다. 계속 이야기하지만 2022년 10월 8일 현재 기다린다 국면입니다.
2) 거래를 서둘러 진행하지 말 것이며, 서두르면 시작이 나쁜 것과 마찬가지다. 매수매도 공히 오늘만큼 좋은 시장은 없다고 생각될 때 삼 일을 기다려라.
오늘 아니면 기회가 없을 것 같아 초조함에 매매한 경험은 누구나 다 있을 것입니다. 그럴 때는 덜컥 매수하지 말고 아래와 같이 단계별로 생각합시다.
1단계 국면을 생각하자.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 참고)
2단계 기업의 가격 모멘텀 스코어를 계산한다. (모멘텀 스코어 계산 방법 참고)
3단계 기업 분석을 한다.
3) 천정 가격과 바닥 가격을 산출할 수 없는 동안은 몇 달이고 유보하고, 예상이 실현될 때를 생각하여 매매해야 한다. 거래를 서두르지 않는다는 것은 천정 가격과 바닥 가격을 보는 것이다.
위의 2) 번과 같이 하면서 3일을 기다려 봅시다. 그래도 알 수 없다면 보초병만 들어가 봅시다. 그리고 뉴스와 정보를 찾으면서 유보합시다.
4) 천장과 바닥을 알 때 이운에 이르러 손실이 없는 것이다. 쌀로 이익을 얻고자 할 때는 무리한 욕심을 금해야 할 것이다.
위의 3) 번 단계를 거치면서 확신이 들지 않아 유보하였는데 가격이 오르는 경우가 있어 마음이 무너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무리한 욕심으로 추격매수는 절대 하지 맙시다. 내버려 두자 기회는 다시 옵니다.
혼마 무네히사와 앙드레 코스톨라니 다른 시대의 투자자이지만 이분들의 책을 읽으면서 상당한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나스닥이 -3.8%, 필라델피아반도체가 -6% 폭락 중이며 이유는 경제지표가 좋게 나와 연준이 강력하게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예상되어 폭락 중입니다. 이럴 때일 수록 책을 읽으면서 거인들이 세상을 어떻게 보고 행동했는지 차분하게 살펴보도록 합시다.
'투자 전략 연구 > 투자의 기본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세장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11월) (0) | 2022.12.11 |
---|---|
강세장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10월) (0) | 2022.10.30 |
성경에서 보는 투자의 지혜(자산배분 전략) (0) | 2022.10.09 |
인덱스펀드로 장기투자하면 부자된다. (feat. 존보글) (0) | 2022.09.19 |
(1단계) 거시적인 국면 판단하여 투자 비중 조절 (0) | 2022.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