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전략 연구/투자의 기본 전략

(1단계) 거시적인 국면 판단하여 투자 비중 조절

by AutoTrader 2022. 9. 14.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든 투자에서의 "1단계" 현재 국면을 판단할 수 있는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이론을 알기까지 아래와 같이 시행착오와 많은 시간이 걸렸고 이제는 흥분에 휩쓸리지 않고 거시적인 국면을 먼저 판단하고 투자 비중을 결정하려 노력하고 있다.

 

나의 투자이력 요약

간단하게 나의 예전의 투자 이력을 복기해보면 2016년도 중국 관련주 상따하다 개박살. 2017년도 차트 공부하여 전고점 뚫으려고 하는 삼성SDI로 수익. 2018년 초 부동산 투자로 주식 접음. 2020년 7월 정도 목돈이 생겨 현대차 삼성전자 카카오로 수익. 2021년 1월 새해를 맞이하여 그동안 투자한 금액의 3배 정도 더 들어감. 2021년 9월 정도 뭔가 잘못됨을 깨달음.

그나마 다행인 것은 2021년 5월 정도 수익의 일부 연금저축 계좌에서 미국 ETF 시작함. 세액공제 받자는 마음으로 시작하였는데 마음이 편안함을 느낌. 하지만 비중이 높은 개별종목은 2021년 10월부터 박살 나기 시작함.

이때 잘못됨을 느끼고 읽은 책이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와 존 보글의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를 읽음. 책을 읽자마자 2021년 1월은 광기의 시장이었다는 것을 파악하고 11월 초 개별주식 중 80% 손절매를 하였으며, 손절 비용은 수업료라고 생각하고 현금화함.

앙드레코스톨라니의 달걀 (부자회사원 이미지 참고)
앙드레코스톨라니의 달걀 (부자회사원 이미지 참고)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의 교훈

1. 2021년도 1월은 A3 국면으로 인플레이션의 정점에 있었으며 연준에서는 계속 금리인상 계획을 발표하던 시기였음.

2. A1 ~ A3 금리 인하구간으로 인플레이션 상승 구간이며, 유동성 증가로 주가 상승기

3. B1 ~ B3 금리인상 구간으로 경기침체 구간이며, 유동성 감소로 주가 하락기

4. B2~B3 구간은 기업분석을 통해 매출액에 이상 없는 종목들을 정리하며 기다린다. (팻 도시의 기업분석)

 

경제적 해자가 있는 기업 찾기(feat. 팻 도시)

팻도시는 모닝스타에서 주식 평가법과 경제적 해자 등급의 개발에 참여한 인물이다. "모닝스타 성공 투자 5원칙"을 쓴 저자이다. 책에서는 무형자산(브랜드, 특허, 라이센스), 전환

sys-stock.tistory.com


5. 연금저축 ETF 모델은 주식 비중과 채권 비중을 국면에 따라 조절해야 한다. (올 웨더 포트폴리오 글 작성 예정)

6. 혼자 고민하기보다는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서라 그들이 보는 안목으로 세상을 보려고 노력해라. (책을 읽어라.)

 

그렇다면 2022년 9월 13일 현재는 어느 구간일까?

현재는 B2~B3 국면으로 보초병 정도만 매수하며 기다려야 한다. 경기침체가 심각해서 구체적인 금리 인하 계획이 연준에서 발표되기 전까지는 "기다린다 구간"이다.

이렇게 국면을 파악한 후 내가 투자하는 포트폴리오에 투자금을 늘릴지 줄일지 판단하는 것이 투자의 1단계에서 해야 할 일이다.

 



글을 쓰고 있는 중에도 시장 분위기기는 극도로 예민하며, 오늘 CPI 지수가 8.3으로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자 연준이 고강도 금리인상(0.75) 할 것으로 예상되어 실망 매물이 나오고 있다.

미국지수
2022.09.13 미국지수

이렇게 미국 지수가 떨어지면 다음 날 개장 때 연금저축 계좌에서 S&P500 ETF 종목을 떨어지는 날마다 조금씩 또는 월정액적립식으로 마음 편하게 매수 예정이다.

 

다음 글에서는 연금저축계좌에서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국내 ETF로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대해서 작성해 보려고 한다.

 

연금저축계좌에서 올웨더 포트폴리오 종목 구성하기

연금저축계좌를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고 운영하면서 연 1~2번정도 리밸런싱을 하게 된다. 오른것을 팔고 떨어진것을 사서 처음 계획한 비율과 같이 맞춰주는 작업을 리밸런싱이라고 한다

sys-stock.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