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팻도시는 모닝스타에서 주식 평가법과 경제적 해자 등급의 개발에 참여한 인물이다. "모닝스타 성공 투자 5원칙"을 쓴 저자이다.
책에서는 무형자산(브랜드, 특허, 라이센스), 전환비용(인프라), 네트워크 효과(사용자 수), 원가 우위의 요소를 가진 기업을 경제적 해자가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경제적 해자를 어떻게 측정하는가? 방법은 아래 같으며, ROE, ROA, ROIC가 오랫동안 유지 되었다면 경제적 해자가 있는 기업으로 판단하고 매수 후보군에 포함시킨다.
만약 주변에서 회사에 대해 추천해주면 최소한 아래의 지표들은 확인하고 매수하길 바란다. 그리고 평소에 관심 있는 회사를 하나씩 분석하다 보면 재미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1. 팻도시의 조사리스트
no. | 조사리스트 | 개념 | 확인방법 |
1 | ROE 자기자본수익율 (Return on Equity) |
순이익/총자본(자산-부채)*100 = ROE >15% *보유하고 있는 자본으로 얼마나 많은 이익을 올렸는가 |
*평균 계산기간 최소 5년~10년 *평균 15% 넘어야 한다. *네이버 > 투자지표 > 수익성 |
2 | ROA 총자산이익율 (Return on Assets) |
순이익/총자산(부채+자본)*100 = ROA > 7% *보유하고 있는 자산으로 얼마나 많은 순수익을 올렸는가 |
*평균 계산기간 최소 5년~10년 *평균이 7% 넘어야 한다. *ROE지표를 보완 *네이버 > 투자지표 > 수익성 |
3 | ROC 자기자본이익율 (Return on Capital) |
ROC = EBIT(영업이익) / 투자자본 투자자본 = 고정자산+유동자산-유동부채 |
ROC는 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ROA와 비슷한 개념 |
4 | ROIC 투하자본이익율 (Return on Invested Capital) |
영업이익/투하자본(유형자산+운전자본) = ROIC >7~15% | *평균 계산기간 최소 5년~10년 *평균이 7~15% *ROA와 ROIC의 갭이 클수록 회사 내에 놀고 있는 자산이 많다는 뜻 *네이버 > 종목분석 > 투자지표 > 수익성 |
5 | FCF 현금흐름 |
잉여현금흐름(FCF) / 매출액 * 100 > 5 | *5보다 커야 함 *네이버 > 종목분석 > 기업현황 |
6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매출액 *100 > 15% | *15%보다 커야 함 *네이버 > 종목분석 > 재무분석 |
7 | 재고자산회전율 유동자산에서 재고자산 확인 |
유동자산 : 1년 이내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 150%넘기면 망할 일 없음 재고자산: 원자재와 판매되지 않은 상품으로 유동자산의 질을 흐림 *재고자산회전율은 재고자산이 매출로 얼마나 이뤄지는지 확인하는 지표 *숫자가 높을수록 양호한 상태 5년치가 높아지는지 확인 |
*재고자산 늘어나는지 확인 *네이버>투자지표>활동성 |
8 | 당기순이익 분석 | *당기순이익은 기업들이 장난칠 수 있음 *갑자기 당기 순이익이 늘어날 경우 중단영업순이익 등의 요인으로 늘어날 수 있음. ex)중단영업순이익이란 적자나는 사업을 처분할 예정인 부분에서 발생한 이익 따라서 제외 하는 것이 맞음 |
*중단영업순이익 등의 주석 +요인 확인 필요 *투자활동현금흐름표에서 해당사항 돈이 들어와 +되었는지 확인이 중요 *당기순이익이 갑자기 늘어났다면 사업 또는 자산을 처분하여 늘어난 것인지 정확한 이유를 파악 해야함. *공시확인 |
2. 기업분석 기초 5가지
팻 도시는 위의 분석 지표를 아래와 같이 보기 편하게 기업분석 기초 5가지로 정리하였다. 분석한 것을 아래의 성장성 수익성과 등에 대입하면 기업에 대한 이해도가 더 깊어진다.
구분 | 확인방법 |
성장성 = 매출의 증가 | *성장성: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조작이 가능함 매출액으로 판단하는것이 합리적 |
*수익성 : 부채/자본 = 부채비율 < 50% 빚이 많지 않음 재무건전성 좋음(ROE 10% 기준 사용 가능) | |
수익성 = ROE, ROA | * ROE와 잉여현금흐름이 높으면 돈버는 기계 ex)마소 * ROE와 잉여현금흐름이 낮아도 매출액이 높으면 투자해볼만함 ex)아마존, 스타벅스 |
재무건전성 = 이자보상배율, 당좌비율 | * 이자보상배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2 안정권 (부채비율이 높아도 10년간의 이자 보상배율이 2보다 높게 지속적으로 유지된경우는 좋은 기업) *네이버 > 투자지표 > 안정성 |
* 유동비율 : 부채를 한번에 갚을 경우 얼마나 현금 확보하는지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50% good *네이버 > 투자지표 > 안정성 > 유동비율 |
|
* 당좌비율 : 유동비율에서 허수일 확률이 높은 재고자산 제거 (유동자산 - 재고자산) / 유동부채 > 100% good 유동비율보다 더 확실함 네이버 > 투자지표 > 안정성 > 당좌비율 |
|
경영진 = 보수, 뉴스 등 |
* 경영진 : 보수, 인격, 운영 얼마나 많은 보수를 주는가? 경쟁사 CEO보수와 비교, 회사내 대표와 그다음 사람의 보수 격차 확인 격차가 크면 문제 있음 *공시 사업보고서 > 임원의 보수 등에서 확인 |
투자위험/부정적 가능성 = 상상력, 추론 | 사업보고서, 뉴스 |
위 기업 분석 방법을 가지고 하락 국면에서는 조용히 매출액이 유지되고 경제적 해자를 가진 기업을 찾고 매수 타이밍을 기다리자. 지금은 기다리자 국면이다.!!
1~2주에 한 번 정도 이 기업 분석 방법으로 1종목씩 분석하여 글을 올릴 예정이다.
반응형
'투자 전략 연구 > 개별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적 해자 기업을 찾아서(feat. 고려아연) (0) | 2022.09.25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