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터에서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고려아연에 대해서 기업분석 해보자. 기업분석 방법은 이전에 포스팅한 팻도시의 방법으로 측정해보도록 하겠다. 개인적인 의견이니 그냥 재미로 참고하시기 바란다.
경제적 해자가 있는 기업 찾기(feat. 팻 도시)
팻도시는 모닝스타에서 주식 평가법과 경제적 해자 등급의 개발에 참여한 인물이다. "모닝스타 성공 투자 5원칙"을 쓴 저자이다. 책에서는 무형자산(브랜드, 특허, 라이센스), 전환
sys-stock.tistory.com
1. 팻도시 조사 리스트 (개인적으로 PER, PBR, PSR 추가)
조사리스트 | 확인방법 | 고려아연 | 평가 |
1. PER 주가수익비율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 PER 주가 / EPS(주당순이익) = PER 시가총액 / 주식수 = 주가 순이익 / 주식수 = EPS(주당순이익) |
* 현재 주식의 PER이 30 ex)지난 10년동안 PER가 15에서 33사이였다면 높음 셈 *per가 점점 높아지면 팜 * PER 50은 높음 * 성장주는 PER / EPS 로 적정 주가 확인 *네이버 > 종목분석 > 투자지표 > 성장성 |
*5년 15.47~11.95 *현재 11.95로 점점 낮아지고 있음 |
O |
2. PBR분석 주가순자산비율 주가 / BPS(주당순자산) = PBR 시가총액 / 자기자본 = PBR PBR이 높은면(낮으면) 가진 자본은 적지만(많지만) 미래 수익 전망이 높아서(낮아서) 시장의 기대가 높은(낮은) 것이라고 해석하면 된다. |
*0.7~1.5 사이가 적당(업종별로 다름) *1.5이상이면 조심 *0.2 이하는 빼야함 |
*5년 1.46~1.19 *21년도 주가가 전년대비 27% 상승으로 1.02에서 1.19로 상승 즉 시장의 기대가 높아짐 *현재 22년도 9월 25일 주가는 61만4천원임 |
△ |
3. PSR 주가매출액배수 시가총액 / 매출액 = PSR PSR이 높은면(낮으면) 현재 매출은 적지만(많지만) 미래 수익 전망이 높아서(낮아서) 시장의 기대가 높은(낮은) 것이라고 해석하면 된다. |
PER와 마찬가지로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 필립피셔 왈 "주식의 인기도를 완벽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 PSR 낮은 주식은 제외 ex) 매출액 1000억인데 시총10억 망하기 직전인 회사 최하위 300위권 : 0.35 높은 300위 종목은 : 3.2 이상 |
*5년 1.41~0.97로 꾸준히 낮아짐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O |
4. PCR 주가현금흐름배수 시가총액/영업현금흐름 = PCR 주가/주당영업현금흐름 = PCR PCR이 높은면(낮으면) 당장 벌어들이는 현금은 적지만(많지만) 미래 수익 전망이 높아서(낮아서) 시장의 기대가 높은(낮은) 것이라고 해석하면 된다. |
PER와 마찬가지로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 | *5년 11.68~15.89로 점점 높아짐 *시장의 기대가 점점 높아져 주가가 올랐음. |
△ |
5. ROE 자기자본수익율 순이익/총자본(자산-부채)*100 = ROE >15% *보유하고 있는 자본으로 얼마나 많은 이익을 올렸는가 |
*평균 계산기간 최소 5년~10년 *평균 15% 넘어야 한다. *네이버 > 투자지표 > 수익성 |
*5년 10.96~11.07 18년 20년 8.64, 8.37로 낮아진 해도 있음 *21년 11.07로 높아 졌으나 지켜봐야함 *22년 예측은 11.11로 거의 그대로 |
△ |
6. ROA 총자산이익율 순이익/총자산(부채+자본)*100 = ROA > 7% *보유하고 있는 자산으로 얼마나 많은 순수익을 올렸는가 |
*평균 계산기간 최소 5년~10년 *평균이 7% 넘어야 한다. *ROE지표를 보완 *네이버 > 투자지표 > 수익성 |
*5년 9.38~8.79 *평균 7%이상으로 양호 |
O |
7. ROIC 투하자본이익율 영업이익/투하자본(유형자산+운전자본) = ROIC >7~15% |
*평균 계산기간 최소 5년~10년 *평균이 7~15% *ROA와 ROIC의 갭이 클수록 회사 내에 놀고 있는 자산이 많다는 뜻 *네이버 > 종목분석 > 투자지표 > 수익성 |
*5년 15.92~13.31 *평균 13.19로 양호 *ROA와 ROIC 갭은 매년 4~5정도로 유지 |
O |
8. FCF 현금흐름 잉여현금흐름(FCF) / 매출액 * 100 > 5 |
*5보다 커야함(업종마다 틀림) *네이버 > 종목분석 > 기업현황 |
*20년 -2.7, 21년 1.43 *20년 CAPEX가 늘어남 -2.7 |
△ |
9. 당기순이익 / 매출액 당기순이익 / 매출액 *100 > 15% |
*15%보다 커야함(업종마다 틀림) *네이버 > 종목분석 > 재무분석 |
*20년 12.4, 21년 8.12 *설비투자 등이 많은 기업은 성장주가 아니기때문에 당기순이익, 잉여현금흐름이 꾸준한 것이 좋음 |
△ |
10. 재고자산회전율 유동자산 : 1년 이내 현금화 할수 있는 자산 150%넘기면 망할일 없음 재고자산: 원자재와 판매되지 않은 상품으로 유동자산의 질을 흐림 *재고자산회전율은 재고자산이 매출로 얼마나 이뤄지는지 확인하는 지표 *숫자가 높을수록 양호한 상태 5년치가 높아지는지확인 |
*재고자산 늘어나는지 확인 *네이버>투자지표>활동성 |
*매출액은 꾸준히 늘어나지만 재고자산도 늘어나 재고자산 회전율이 최근 5년 5.16~3.87로 점점 낮아짐 *원자재값 상승 등 연관관계 확인 필요 |
X |
11. 당기순이익 분석 *당기순이익은 기업들이 장난칠수 있음 *갑자기 당기 순이익이 늘어날 경우 중단영업순이익 등의 요인으로 늘어날 수 있음. ex)중단영업순이익이란 적자나는 사업을 처분할 예정인 부분에서 발생한 이익 따라서 제외 하는것이 맞음 |
*중단영업순이익 등의 주석 +요인 확인 필요 *투자활동현금흐름표에서 해당사항 돈이 들어와 +되었는지 확인이 중요 *당기순이익이 갑자기 늘어났다면 사업 또는 자산을 처분하여 늘어난것인지 정확한 이유를 파악해야함. *영업활동(+)/투자활동(-)/재무활동(-) *공시확인 |
*영업,투자,재무활동을 봤을때 21년 재무활동이 +인 부분을 빼고는 이상없음 *원인은 은행에서 돈을 빌렸기 때문에 현금이 들어와 +가 되었을 가능성 있음 *부채를 CAPEX 쪽으로 더 투자가 된 것 같지는 않음. 하지만 매년 꾸준히 투자 |
△ |
2. 기업분석 기초 5가지
구분 | 확인방법 | 고려아연 | 평가 |
1. 성장성 = 매출의 증가 | *성장성: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조작이 가능함 매출액으로 판단하는것이 합리적 | 매출액은 꾸준히 상승 | O |
*수익성 : 부채/자본 = 부채비율 < 50% 빚이 많지 않음 재무건전성 좋음(ROE 10% 기준 사용 가능) 네이버 > 종목분석 > 투자지표 > 안정성 |
부채비율은 21년 기준 28.83 매년 부채비율 증가 중 |
O | |
2. 수익성 = ROE, ROA | * ROE와 잉여현금흐름이 높으면 돈버는 기계 ex)마소 * ROE와 잉여현금흐름이 낮아도 매출액이 높으면 투자해볼만함 ex)아마존, 스타벅스 |
ROE, ROA는 거의 그대로임 설비투자등 투하자본이 많은 기업이다 보니 성장성은 낮음. |
△ |
3. 재무건전성 = 이자보상배율, 당좌비율 | * 이자보상배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2 안정권 (부채비율이 높아도 10년간의 이자 보상배율이 2보다 높게 지속적으로 유지된경우는 좋은 기업) *네이버 > 종목분석>투자지표 > 안정성 |
이자보상배율 263 매우 좋음 2021년 이자발생부채 급증 |
O |
* 유동비율 : 부채를 한번에 갚을 경우 얼마나 현금 확보하는지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50% good *네이버 > 투자지표 > 안정성 > 유동비율 |
유동비율 321%로 매우 좋음 | O | |
* 당좌비율 : 유동비율에서 허수일 확률이 높은 재고자산 제거 (유동자산 - 재고자산) / 유동부채 > 100% good 유동비율보다 더 확실함 네이버 > 투자지표 > 안정성 > 당좌비율 |
당좌비율 78.15 유동비율, 당좌비율 모두 줄어듦. 부채가 capex등 시설투자로 가면 나중에 매출액 증가로 이어질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눈에 띄게 늘어나지 않음 |
X | |
4. 경영진 = 보수, 뉴스 등 |
* 경영진 : 보수, 인격, 운영 얼마나 많은 보수를 주는가? 경쟁사 CEO보수와 비교, 회사내 대표와 그다음 사람의 보수 격차 확인 격차가 크면 문제 있음 사업보고서 > 임원의 보수 등에서 확인 *공시, 뉴스 |
남 연봉 39,624,000 / 13년 5개월 근속 여 연봉 20,149,000 / 5년 4개월 남녀 총 1502명, 임원 41명 회장 10억, 부회장 6억8천 |
X |
5. 투자위험/부정적 가능성 = 상상력, 추론 | 사업보고서, 뉴스 | 경영권 분쟁 있음 현재 가격은 과열일 가능성이 큼 LG와 고려아연 계열사 켐코 배터리 생태계 협력 강화(폐배터리등) 신재생, 자원순환, 2차전지 사업 성장성 있음. (홈페이지 확인) |
△ |
[기업분석 설명]
2021년 은행권 부채가 늘어남 CAPEX 설비 쪽으로 투자가 된 것 같지는 않아 향후 매출액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어짐. 하지만 매년 꾸준히 투자하고 있음.
남여 직원 1502명 남자 연봉 3천9백만원, 여자 2천만원, 회장 10억, 부회장 6억8천으로 갭이 상당히 있음. 직원 근속연수는 남 13년 5개월, 여 5년 4개월 정도임. 41명의 임원진 훌륭함.
시총 12조 2천억 정도 코스피 25위의 우량기업이며,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여 성장은 하고 있지만 수익성 ROE, ROA는 거의 제자리임. 배당률은 지속해서 오르고 있음.
성장성 수익성은 앞으로 LG와 고려아연 계열사 켐코의 배터리 생태계 협력이 성장 동력이 될지 지켜봐야 함. 켐코 또한 매출액이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음.
현재 경영권 분쟁 뉴스가 있어 지금의 가격은 과열되어 있을 가능성이 큼. 그래도 돈 잘 벌고 배당잘 주는 망할 걱정 없는 회사이니 하락 국면에 잘 보고 있다가 조정이 오면 알맞은 가격에는 들어갈 만 하다. 또는 전고점 돌파하면 추세가 좋다고 판단하여 짧게 먹고 나오는 단타적략도 유효하다.
'투자 전략 연구 > 개별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적 해자가 있는 기업 찾기(feat. 팻 도시) (0) | 2022.09.24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