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전략 연구/퀀트 투자 전략

주식/채권 + 동적 자산 배분 전략(feat. 강환국)

by AutoTrader 2022. 11. 6.
반응형

주식/채권 + 동적 자산 배분 전략(feat. 강환국)

60/40 자산 배분 전략 전략에서의 문제점은 2018년도와 올해와 같은 장에서는 주식과 채권의 상관성이 급격히 높아져서 같이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60/40 전략에 대한 이전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2.11.05 - [분류 전체보기] - 60/40 자산배분전략(feat. 해리마코위츠)


이런 하락장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오히려 수익을 내는 전략이 있어 포스팅하려 합니다. 간단하게 전략에 관해 설명하자면 주식과 채권의 모멘텀 스코어를 구하고 특정 점수 이하로 떨어지면 팔고 상관성이 0인 자산(달러+인버스)로 잠깐 도망가는 전략입니다.

안전자산이 채권인 전략에서 카나리아 자산군 또는 모멘텀 스코어가 기준점수보다 낮아 졌을 때 달러 + 인버스를 자산군에 포함하는 것도 훌륭한 기법이라고 생각됩니다

60/40 전략의 단점에 대해 포스팅한 글은 아랫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주식/채권 + 동적 자산 배분 전략

주식/채권 + 동적 자산 배분 전략
포함자산 : -고정 자산 : 주식(60) / 채권(40) - 비율은 본인 성향대로
-
안전 자산 : 원화, 달러, 인버스
매수전략 : - 주식과 채권의 평균 모멘텀 스코어를 구한다.
- 평균 모멘텀 스코어가0.3 이하면 주식채권을 모두 팔고 원화, 달러, 인버스에 모멘텀 스코어 점수대로 비중을 조절한다.
*아래 2,3 참고
매도 전략 : 1 리밸런싱

 

2. 주식 + 채권 모멘텀 스코어 구하기(2022.11)

KOSPY 모멘텀 스코어

1m 2m 3m 4m 5m 6m 7m 8m 9m 10m 11m 12m
1 0 0 0 0 0 0 0 0 0 0 0

모멘텀 스코어 : 1/12 = 0.1

 

KOSEF 국고채 10년 모멘텀 스코어

1m 2m 3m 4m 5m 6m 7m 8m 9m 10m 11m 12m
1 0 0 0 0 0 0 0 0 0 0 0

모멘텀 스코어 : 1/12 = 0.1

 

현재 11 평균모멘텀 스코어는 0.2 / 2 = 0.1 < 0.3 보다 작습니다. 전략은 달러, 인버스, 현금으로 도망가라고 외치고 있습니다. 모멘텀 스코어 구하는 방법은 아래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2.09.17 - [분류 전체보기] - 강세장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9월)

 

 

3. 주식 + 채권 모멘텀 스코어에 따른 비중 조절(2022.11)

동적자산배분 전략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인버스 32%, 달러32%, 원화현금36% 정도 보유해야 합니다. 여기서 다양하게 비중조절을 할수 있는데 대체 자산군은 본인 성향에 맞게 조절하면 됩니다.

원래자산군 대체 자산군 비중 비중(%)
한국 주식 인버스 (1-0.1) = 0.9
0.9 / 2.8 = 0.32
32%
한국 채권 달러 (1-0.1) = 0.9
0.9 / 2.8 = 0.32
32%
원화 현금 원화 현금 1 / 2.8 = 0.36 36%

 

평균 모멘텀 스코어를 구해서 스코어대로 주식 채권 비중이 조절되는 백 테스트를 해보면 좋겠지만 무료인 백 테스트 툴에서는 모멘텀 스코어에 따른 좀 더 정교한 백 테스트는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다만 위 전략은 systrader79님, 강환국 작가님을 통해 검증된 전략입니다.

나의 투자전략을 정교하게 시장에서 실험해 보려면 금융데이터를 크롤링하고 정교한 로직으로 백 테스트 해봐야 합니다. 사실 백 테스트는 유튜브, 블로그 등에서 수많은 사람이 검증을 했기 때문에 좋은 전략 그대로 가져다가 쓰는 것으로 만족했었습니다.

하지만 퀀트를 공부하면 할수록 좀 더 정교한 백 테스트가 필요하게 되고 결국 파이썬으로 테스트 하던가 유료 툴을 구매하여 구현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