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을 국면 판단의 기본으로 참고하고 강세장과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을 소개하려 한다. 9월은 아직 지나지 않아 정확한 데이터가 없으므로 2022년 8월 말 기준으로 현재의 장세를 판단해 보도록 하자.
1. 평균 모멘텀 스코어 (feat. systrader79의 솔루션)
*절대 모멘텀에서는 1년 또는 6개월 전과 비교하여 투자비중을 설정하지만 평균 모멘텀 스코어는 1~12개월을 다 확인하여 상승 스코어에 따라 투자 비중을 정하는 전략이다. 아래 표는 코스피 주가 월별 데이터이다. 기준금리 데이터를 보면 21년 5~7월 0.5 바닥을 찍고 8월에는 0.75로 오르는 것을 볼 수 있고 volume(거래대금)도 점점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코스톨라니의 달걀에서 "판다 국면"과 딱 들어맞는 구간이다.
(1단계) 거시적인 국면 판단하여 투자 비중 조절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든 투자에서의 "1단계" 현재 국면을 판단할 수 있는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이론을 알기까지 아래와 같이 시행착오와 많은 시간이 걸렸고 이
sys-stock.tistory.com
Date | Open | Close | Volume | 월별주식수익 | 한국기준금리 |
21-01-31 | 2874.5 | 2976.21 | 26093965000 | 3.54 | 1.25 |
21-02-28 | 2976.81 | 3012.95 | 26279457000 | 1.21 | 1.25 |
21-03-31 | 3021.68 | 3061.42 | 25528428000 | 1.32 | 0.75 |
21-04-30 | 3073.77 | 3147.86 | 32218961000 | 2.41 | 0.75 |
21-05-31 | 3149.05 | 3203.92 | 19221679000 | 1.74 | 0.5 |
21-06-30 | 3207.12 | 3296.68 | 33715382000 | 2.79 | 0.5 |
21-07-31 | 3297.92 | 3202.32 | 21152334000 | -2.90 | 0.5 |
21-08-31 | 3218.42 | 3199.27 | 14090970000 | -0.60 | 0.75 |
21-09-30 | 3195.67 | 3068.82 | 14251300000 | -3.97 | 0.75 |
21-10-31 | 3056.21 | 2970.68 | 13386338000 | -2.80 | 0.75 |
21-11-30 | 2984.18 | 2839.01 | 13877608000 | -4.86 | 1 |
21-12-31 | 2860.12 | 2977.65 | 10534553000 | 4.11 | 1 |
22-01-31 | 2998.32 | 2663.34 | 10925609000 | -11.17 | 1.25 |
22-02-28 | 2706.34 | 2699.18 | 10117931000 | -0.26 | 1.25 |
22-03-31 | 2698.31 | 2757.65 | 14407377000 | 2.20 | 1.25 |
22-04-30 | 2745.85 | 2695.05 | 22025876000 | -1.85 | 1.5 |
22-05-31 | 2669.21 | 2683.23 | 16736400000 | 0.53 | 1.75 |
22-06-30 | 2670.74 | 2332.64 | 12014660000 | -12.66 | 1.75 |
22-07-31 | 2342.92 | 2451.5 | 7955643000 | 4.63 | 2.25 |
22-08-31 | 2444.05 | 2472.05 | 9767915000 | 1.15 | 2.5 |
[표1] 코스피 월별 데이터
[표1]데이터에서 8월 기준으로 1~12개월 전과 비교하여 상승인 경우는 1점, 하락인 경우는 0점을 부여 하면 아래 표와 같이 스코어 결과가 나온다.
1m | 2m | 3m | 4m | 5m | 6m | 7m | 8m | 9m | 10m | 11m | 12m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표2] 월별 평균 모멘텀 스코어
[표2]의 결과로 주식 비중과 현금 비중을 구한다면 주식 비중은 17%(2점/12개월)이며 현금 비중은 83%가 나온다.
평균 모멘텀 스코어에 따라 주식 비중을 조절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분할 매수, 매도되어 *절대 모멘텀 전략을 보완해주는 효과가 있다.
*절대 모멘텀 : 자산 가격이 1년 전과 비교해서 올랐다면 상승장(매수) 아니면 하락장(예금 또는 공매도)
*하락장에서는 인버스도 현금 비중의 10~20% 정도만 비중을 두는 것도 헷지 수단이 될 수 있다.
2. *듀얼 모멘텀을 개발한 게리 안토나치의 강세장 하락장 판단
과거 6개월 또는 12개월 수익이 예금금리를 능가하면 강세장, 그렇지 않으면 약세장으로 판단하였다.
[표1]에서 8월 기준으로 6개월 전과 비교하였을 때의 수익률은 -8.66이며, 12개월 전과 비교하였을 때의 수익은 -23.10 게리 안토나치 말에 의하면 약세장이며, 우리는 감을 유지하기 위해 보초병 정도만 투자해야 한다.
*듀얼 모멘텀 : 상대모멘텀과 절대모멘텀을 합친 전략으로 다음 글에 소개할 예정이다.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 듀얼 모멘텀 전략
게리 안토니치가 개발한 듀얼 모멘텀이란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비드 리카도가 말한 "손실은 자르고 이익은 달리게 놔둬라."라는 말처럼 오르는 자산에 들어
sys-stock.tistory.com
3. 신진오(전략적 가치 투자)의 강세장 하락장 판단
주가지수 3개월(60일선) 이동평균이 상승 반전이면 강세장, 하락 반전하면 약세장으로 판단하였다. 위 1,2번으로 판단하기 귀찮다면 코스피 지수를 보고 3개월(60일선)이 반전하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아래 그림을 1초만 봐도 9월 기준 반등은 없음으로 "기다린다 국면"이다.
'투자 전략 연구 > 퀀트 투자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구포트폴리오를 개선한 LAA 전략(feat. 바우터 켈러) (0) | 2022.09.21 |
---|---|
해리 브라운의 영구포트폴리오 소개 및 백테스트 (0) | 2022.09.20 |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 듀얼 모멘텀 전략 (0) | 2022.09.18 |
조셉 피오트로스키의 F-스코어 전략 (0) | 2022.09.16 |
가상화폐 돌파 매매 전략(feat. 가상화폐 투자 마법 공식) (0) | 2022.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