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매크로 지표로 국면 판단
1) 미국 실업률
1월 6일 미국 실업률은 3.5였습니다. 2월 6일 발표되는 실업률 예측치는 3.6이며, 수치가 낮게 나와도 연준에서는 한번 정도 인상하고 금리 동결 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2) 미국 제조업 및 비제조업 지수(PMI)
미국 제조업(1월 5일) : 48.4 / 예측(2월 2일 발표) : 48
미국 비제조업(1월 7일) : 49.6 / 예측 50.3(2월 4일 발표) : 50.3
1월의 초 발표된 12월의 제조업, 비제조업 지수는 50미만은로 경기 위축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3) 경제심리지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1월까지만 발표가 되어 경제심리지수 지표로 대신하려고 합니다.
2022년 9월부터 100 이하로 떨어졌으며, 1월까지 지속해서 떨어지고 있습니다.
카나리아 자산군에 속하는 국내 경기는 완연한 경기침체로 보여 집니다. 캐나다는 금리 동결을 발표했으며, 일본도 대규모 국채를 매입하는 등 글로벌 시장도 유동성을 증가하려는 계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4)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CPI
CPI는 1월 12일 발표기준 6.5이며, 2월 14일 예측은 6.5 그대로 입니다. 유럽이 따뜻하여 유가가 내린것이 인플레이션을 내려가게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변수는 중국이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경기가 살아나면 원자재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점입니다. 2월 14일 발표에 주목해야겠습니다.
5) 버핏 지수 (1월 28)
100보다 높으면 거품이 있다고 보며, 70~80이면 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계산식은 "Total Market/GDP Ratio (%)"로 간단합니다. 미국과 일본은 비싼 편에 속하네요. 이머징 마켓 쪽 비중을 높이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USA : 158 / China : 60.95 / japan : 125.98 / India : 86.86 / Korea : 93.41 / Indonesia : 42.52
2. 평균 모멘텀 스코어
평균 모멘텀 스코어는 파이썬으로 구현하였습니다. SPY의 2022-1-31 ~ 2023-1-27의 모멘텀 스코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momentum_score = [1, 0, 1, 1, 1, 0, 1, 0, 0, 0, 0, 0]
3. 신진오의 강세장 하락장 판단
모멘텀은 60일 SPY KOSPI 모두 60일 선을 돌파 한 것을 볼 수 있다. 모멘텀이 살아났으니 현금 자산군을 줄이고 주식, 채권으로 분할 매수 해야겠습니다. 한 번에 안들어가는 이유는 전고점 돌파전 매물대를 맞고 하락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4. 결론
매크로 지표를 확인 하였을 때 완연한 경기침체로 보여지며 중국발 변수가 없다면 B3~A1국면으로 보입니다. 시장에는 항상 변수가 존재함으로 한 번에 주식 비중을 늘리지 말고 평균 모멘텀 스코어에 맞게 주식 비중을 42%정도로 조절해야 겠습니다.
'투자 전략 연구 > 투자의 기본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3년 3월) (0) | 2023.03.28 |
---|---|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3년 2월) (0) | 2023.02.27 |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12월) (0) | 2023.01.01 |
강세장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11월) (0) | 2022.12.11 |
강세장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10월) (0) | 2022.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