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앙드레코스톨라니 달걀 모형
1) 미국 실업률
기다렸던 1월 6일 미국실업률은 3.5로 오히려 낮아졌습니다. 연준은 금리인상을 언제든지 강하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행인지는 모르겠지만 미국실업률이 3.5로 낮아졌음에도 1월 6일 미국 장은 좋은 흐름을 보였습니다.
2)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수(50 미만은 경기 위축)
3) 미국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50 미만은 경기 위축)
4)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경기 국면을 확인하는데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지표를 참고하여 앞으로의 성장성을 예측합니다. 순환변동치가 100 미만이면 추세보다 낮은 성장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현재 2022년 11월 기준 99이며 지난 7월부터 연속해서 하락했습니다. 경제 심리 지수 또한 지난 8월 부터 연속해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선행, 동행, 후행 지수와 반대방향으로 2분기 이상 연속해서 움직이면, 순환변동치 전환 시점을 경기전환 신호를 볼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 경기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다른 지표들과 종합적으로 보고 판단해야 겠습니다.
정부에서도 경기침체로 보고 부동산의 경우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으로 전환하였습니다. 앞으로 경기를 생각하면 정부에서도 금리를 올리기에는 부담이 있어 보입니다. 미국의 연준에서도 금리인하 계획은 전혀 보이지 않고 있으니 고민이 깊어 집니다. 이렇게 애매한 경우가 오래갈수록 박스 횡보장으로 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현재는 B2국면에서 B3국면으로 넘어가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1월 6일 발표를 기다리면서 모멘텀이 살아나는 것을 보고 그때 조금씩 분할 매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참고 : 2022.09.14 - [투자 전략 연구/투자의 기본 전략] - (1단계) 거시적인 국면 판단하여 투자 비중 조절
2. 평균 모멘텀 스코어
평균 모멘텀 스코어는 파이썬으로 구현하였습니다. SPY의 2021-11-30 ~ 2022-12-30의 모멘텀 스코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월말 한번정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momentum_score = [0, 0, 1, 0, 0, 1, 0, 0, 0, 0, 0, 0, 0]
3. 신진오의 강세장 하락장 판단
모멘텀은 60일 아래에 위치하여 좋지 않습니다.
4. 결론
미국제조업, 비제조업 지수가 50이하로 떨어져 경기침체 국면에 접어든 모습입니다만 모멘텀이 좋지 않아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1월 6일 미국 실업률이 어떻게 나오느냐를 보고 경기침체 국면을 판단해야 하겠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아직 기다린다 국면이며 평균 모멘텀 스코어와 같이 주식은 15% 나머지 85%는 현금으로 가져가야겠습니다.
'투자 전략 연구 > 투자의 기본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3년 2월) (0) | 2023.02.27 |
---|---|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3년 1월) (0) | 2023.01.29 |
강세장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11월) (0) | 2022.12.11 |
강세장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10월) (0) | 2022.10.30 |
성경에서 보는 투자의 지혜(자산배분 전략) (0) | 2022.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