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전략 연구/퀀트 투자 전략24 듀얼모멘텀 MDD를 절반으로! 종합듀얼모멘텀 기존에 소개하였던 게리 안토나치의 듀얼 모멘텀 전략의 MDD는 -19%였다. 이를 절반 정도로 줄인 종합 듀얼 모멘텀 전략을 소개하려 한다. 기존 글은 아랫글을 참고하시면 된다. 연 복리 수익률은 15%에서 11% 낮아졌지만, MDD는 -19%에서 무려 -11%대로 낮춘 전략이다. 연 복리 수익률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다양하겠지만 개인적으로 20% 손실을 봤을 때 감당하기 어려워 최대한 MDD가 낮은 전략을 선호한다. 또한 연 복리 수익률은 -4% 정도 낮아지면서 10%대를 유지하는 엄청난 전략이다. 종합 듀얼 모멘텀(Composite Dual Momentum) 기대 연복리수익률: 10~15% 포함 자산: -포트폴리오를 4개 파트로 나눔(각 파트에 자산의 25% 배분) -파트 1: 주식 -.. 2022. 10. 4. 간단하고 쉬운 듀얼모멘텀(feat. 게리 안토나치) 기존 전략들이 복잡했다면 이번에는 아주 쉽고 간단한 듀얼 모멘텀 전략을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이전에 소개한 듀얼 모멘텀 전략 보다 더 간단하다.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 듀얼 모멘텀 전략 게리 안토니치가 개발한 듀얼 모멘텀이란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비드 리카도가 말한 "손실은 자르고 이익은 달리게 놔둬라."라는 말처럼 오르는 자산에 들어 sys-stock.tistory.com 전략은 12개월 수익이 현금보다도 떨어지면 주식을 팔고 채권을 사는 전략이다. 더 심플해지기도 어려운 전략이다. 더 놀라운 것은 연 복리 수익률이 15%이며, MDD가 -19.6%인 점이다. SPY의 경우는 연 복리 수익률이 10%이며, MDD는 53.6%가 나온 적도 있는데 듀얼 모멘텀의 결과는 연 복리 수익.. 2022. 10. 1. VAA를 보완한 DAA전략 (feat. 바우터 켈러) 앞서 소개한 VAA전략의 단점은 50년간 평균적으로 총자산의 60% 정도를 안전자산에만 투자했어야 한다. 너무 보수적이어서 상승장에서 손가락 빨고 있었을 확률도 높다는 큰 단점이 있다. VAA 공격형 전략(feat. 바우터 켈러) VAA 공격형(Vigilant Asset Allocation Aggressive) 전략은 글로벌 금융 시장의 상황이 나빠지면 더 빠르게 현금으로 전환하는 전략이다. 켈러가 만든 전략 중 하나이다. 영구포트폴리오를 개 sys-stock.tistory.com 또한 과거보다 채권 수익률이 점점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캘러는 2018년 DAA라는 새로운 전략을 개발한다. 캘러는 카나리아 자산군을 도입해 이 자산군의 모멘텀 스코어가 0이면 안전자산 군으로 도망가는 전략이다. 투.. 2022. 9. 30. VAA 공격형 전략(feat. 바우터 켈러) VAA 공격형(Vigilant Asset Allocation Aggressive) 전략은 글로벌 금융 시장의 상황이 나빠지면 더 빠르게 현금으로 전환하는 전략이다. 켈러가 만든 전략 중 하나이다. 영구포트폴리오를 개선한 LAA 전략(feat. 바우터 켈러) LAA 전략을 개발한 바우터 켈러는 환갑의 나이에 2012년부터 투자를 시작하고, 동적 자산 배분에 대한 논문을 쓰기 시작하여 9개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고 한다. 켈러의 LAA(Lethargi sys-stock.tistory.com 켈러의 전략은 아래와 같으며 연 복리 수익률이 16%이며, MDD는 -16.1%라는 놀라운 방어력을 보여준다. VAA 공격형 투자전략 (Vigilant Asset Allocation Aggressive) 포함 자산: - .. 2022. 9. 29. 소형주 + 저PBR, PCR, PER, PSR 전략(feat. 유진파마) 유진 파마 교수의 "효율적 시장 가설"은 금융시장이 극도로 경쟁적이어서 새롭게 알려지는 정보가 순간적으로 시장 가격에 반영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타이밍이나 분석을 통해서 시장 평균 이상의 수익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오늘날까지도 경제학계에서는 시장의 효율성, 비효율성을 두고 여전히 논쟁 중이다. 효율적 시장 가설로 1960년대 노벨상을 받은 그는 뜬금없이 1992년 논문 하나를 발표한다. 소형주와 저 PBR 주식이 주가지수 보다 수익이 높다는 논문이었다. 효율적 시장 가설에 따르면 뭘 해도 시장수익을 초과할 수 없다는 것으로 노벨상까지 받았는데... 1992년과 2014년 논문에서는 소형주, PBR, 자산 성장 주식으로 초과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하니 황당하기도 하지만 돈 벌 수 있는 전략을 .. 2022. 9. 28. NCAV + 핼러윈 전략(feat. 벤자민 그레이엄) 그레이엄의 가치 투자 이론은 쉽게 말해 싼 주식을 사고 비싼 주식을 팔라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뭐가 비싸고 싼지 알기란 쉽지 않다. 그레이엄의 위대한 업적은 싼 주식과 비싼 주식의 계량화된 기준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그레이엄은 대공황을 겪으면서 기업의 미래는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고 그래서 기업의 청산가치를 중요시 여겼다. 그레이엄은 기업의 청산가치를 보수적으로 순유동자산(유동자산 - 총부채)로 잡았으며, 그레이엄의 "증권분석"에서 제시한 전략이 Net Current Asset Value(NCAV, 순유동자산) 전략이다. 강환국 작가의 "할 수 있다! 퀀트 투자"에서 21번째 전략으로 소개되었으며 방법은 아래와 같다. ■ 투자전략 21 : NCAV 전략 기대 CAG.. 2022. 9. 27.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