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투자 포트폴리오/[개인, 퇴직 연금] ETF 모델 투자

월급쟁이는 꼭 해야 하는 ETF를 활용한 연금투자

by AutoTrader 2022. 9. 12.
반응형

월급쟁이는 꼭 해야 하는 ETF를 활용한 연금투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월급쟁이는 연금저축 계좌로 왜 ETF 투자를 꼭 해야 하는가에 관해서 이야기해 보려 한다.

우리 포트폴리오에는 부동산, 주식, 채권, 현물 등 다양하게 있지만 한국 사람이라면 부동산이 압도적으로 높다.

 

월급쟁이라고 한다면 저도 마찬가지지만 부채 포함하여 아파트 1채에 올인 되어 있다. 월급쟁이의 금융 포트폴리오는 막 시작 단계거나 시작했더라도 이게 맞는 건가? 누구 말을 들어야지 하는 고민을 많이 하실 것 같다. 평범한 월급쟁이의 이러한 자산 포트폴리오는 우리가 늙었을 때 월급을 줄 수 있는 자산이 아니다.


지금 당장 대박을 원하는 분들도 있지만, 평범한 월급쟁이가 투자하는 이유는 일을 더 이상 하지 못할 때 월 500만원 이상 따박따박 나오는 노후 준비를 하기 위함이 클 것이다.

평범한 월급쟁이들이 주식을 공부하고 매매하기는 정말 어렵다. 그리고 개별주식 투자는 맘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러한 투자 고민을 하던 차에 연금저축으로 미국 주식 투자하기라는 정보를 알게 되어 2021년 5월부터 연금저축 계좌를 시작하기로 마음먹었고 현재 마음 편하게 떨어지는 날마다 또는 월정액 적립식으로 모아나가고 있다.

연금저축 계좌와 퇴직연금 IRP에서 ETF를 떨어지는 날마다 조금씩 월 20~40만원씩 모아나가고 있으며, 미국 지수가 떨어진 다음 날이면 싸게 살 수 있어 떨어지는 날만 기다리는 여유까지 생기게 되었다.

 

어차피 55세 이후 찾을 수 있는 돈이라 잦은 매매를 하지 않고 꾸준히 모아나갈 수 있는 것 같다. 물려서 강제로 존버 하는 느낌과는 전혀 다르다.

참고로 미래에셋증권에서 개인연금 계좌, 퇴직연금 IRP 둘 다 개설하였다. ETF 상품 종류가 많아서 포트폴리오 구성하기에 유리하다고 판단하였다.

 

 

개인연금저축을 하면 좋은 점

1. 연금저축 연 0~180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


2. 세액공제 금액은 년 700 연말정산 세액 공제(700만원은 90만원 정도 공제)
(연금저축 계좌 400만원, 퇴직연금 300만원)
*아무리 주 식장이 박살 나도 납입금액(500~700)에 따라 50~90만원을 보전해 줘서 마음이 편안함.

3. 55세 이후 10년 이상 분할 상환받으면 해외주식의 경우 수익의 15.4% -> 3.3%로 세금 감면
*미국 주식 하기 딱 좋음.

4. 떨어지는 날마다 한주씩 모아나가는 습관을 만들면, 절약하는 습관도 기를 수 있다.

* 커피 2잔 안먹으면 ETF 한주 살수 있는데라는 마음이 생겨 쓸데 없는 지출을 줄인다.

5. 지수 추종하는 미국, 한국, 이머징마켓 ETF를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게 되면 글로벌 시장 국면에 익숙해질 수 있다.
*초보 투자자에게 시장 국면에 익숙해진 후 개별종목을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국면 판단하는 방법은 거시적 국면 판단하기라는 글에 추가로 설명할 예정이다.)

*모든 투자의 기본이 된다.

6. 개별종목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ETF 운영사에서 실적이 떨어져 탈락하는 기업들은 알아서 리벨런싱해 준다.


7. 레버리지 인버스 종목은 투자 불가하여 월 정액 적립식 전략으로 55세 이후에 찾아도 되는 여윳돈으로 하게 된다.

 

[존 보글 뱅가드 창업자의 주요 어록]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으려고 하지마라. 건초더미를 통째로 사라
힘들게 개별 종목을 발굴하려 애쓰지 말고 인덱스펀드에 가입해 시장 전체에 투자하라

시간은 당신의 친구이고, 충동은 당신의 적이다
다기 시황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신념을 갖고 장기 투자하라

투자는 비용을 낮추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안정적인 수익을 장기간 올리기 위해선 고비용의 액티브펀드보다는 인덱스펀드가 유리하다
 

연금저축계좌에서 올웨더 포트폴리오 종목 구성하기

연금저축계좌를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고 운영하면서 연 1~2번정도 리밸런싱을 하게 된다. 오른것을 팔고 떨어진것을 사서 처음 계획한 비율과 같이 맞춰주는 작업을 리밸런싱이라고 한다

sys-stock.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