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전략 연구/퀀트 투자 전략

종합듀얼모멘텀 전략 국내ETF로 종목 구성하기

by AutoTrader 2022. 10. 7.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하였던 연 복리 수익률 11%에 MDD는 -10%대의 종합 듀얼 모멘텀 전략을 국내 ETF로 대체하여 종목을 구성해 보았다.

 

듀얼모멘텀 MDD를 절반으로! 종합듀얼모멘텀

기존에 소개하였던 게리 안토나치의 듀얼 모멘텀 전략의 MDD는 -19%였다. 이를 절반 정도로 줄인 종합 듀얼 모멘텀 전략을 소개하려 한다. 기존 글은 아랫글을 참고하시면 된다. 간단하고 쉬운 듀

sys-stock.tistory.com


미국 계좌에서 하지 왜 국내 ETF로 하려고 하느냐는 질문이 있어서 간단히 설명하자면, 퇴직 및 개인 연금저축 계좌는 세액공제에 세금도 아낄 수 있다. 이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월급쟁이는 꼭 해야 하는 ETF를 활용한 연금투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월급쟁이는 연금저축 계좌로 왜 ETF 투자를 꼭 해야 하는가에 관해서 이야기해 보려 한다. 우리 포트폴리오에는 부동산, 주식, 채권, 현물 등 다양하게 있지만 한국 사람이라

sys-stock.tistory.com

이러한 장점이 있는 계좌에서 좋은 전략으로 투자하면 당연히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환율이 1100~1200대로 괜찮아지면 미국 계좌로도 돌릴 예정이다. 여러 전략을 운영하다 보면 안전자산이 달라,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하게 구성하여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내가 사용하는 전략의 안전자산이 특정 자산에 너무 몰려있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

 

 

1. 종합듀얼모멘턴 전략

종합 듀얼 모멘텀(Composite Dual Momentum)
기대 연복리수익률: 10~15%
포함 자산: -포트폴리오를 4개 파트로 나눔(각 파트에 자산의 25% 배분)
-파트 1: 주식 - 미국 주식SPY 또는 해외 주식EFA
-
파트2: 채권 - 미국 회사채LQD 또는 미국 하이일드채권HYG
-
파트3 : 부동산 - 부동산 리츠VNQ 또는 모기지 리츠REM
-
파트4 : 불경기 - 미국 장기채TLT 또는 금GLD
매수 전략: -매월 말 각 파트별 2개 자산의 최근 12개월 수익률을 계산
-
둘 중 수익이 더 높은 ETF에 투자
-
ETF 수익 모두가 BIL(미국 초단기채) 수익보다 낮으면 달러 현금에 투자
or 두 ETF 수익 모두가 6개월 수익이 0이하라면 그 비중은 현금 보유
매도 전략: 1회 리밸런싱

 

2. 종합듀얼모멘턴(국내ETF 구성)

 구분 미국ETF 한국대체ETF
파트1:주식
 
미국 주식SPY TIGER 미국S&P500
해외 주식EFA KODEX 선진국 MSCI World
파트2: 채권
 
미국 회사채LQD ARIRANG 미국단기우량회사채
미국 하이일드채권HYG TIGER단기선진하이일드(합성H)
파트3 : 부동산
 
부동산 리츠VNQ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H)
모기지 리츠REM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
파트4 : 불경기
 
미국 장기채TLT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GLD KINDEX KRX금현물

 

3. 기준자산 BIL(미국 초단기채)

구분 BIL(미국 초단기채)
수익률(12개월)
배당수익률
0.10%
2.04%

 

 

4. 종합듀얼모멘턴(국내ETF 구성) 설명

1) 매수전략에서 파트별로 두 ETF 수익 모두가 BIL(미국 초단기채) 수익보다 낮으면 달러 현금에 투자해한다. 여기서 달러 현금 ETF는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를 매수하면 된다.

 

2) 현재 모두 BIL보다 수익률이 낮기 때문에 달라가 너무 올라 무섭다면 원화를 그냥 들고 있거나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를 매수하여야 한다.

 

3) BIL부분은 대체할만한 ETF가 없다.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는 환율 등으로 인해 상관성이 너무 낮아 기준 ETF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BIL의 수익은 Ivesting에서 배당수익률을 직접 확인해야 한다. 파이썬으로 개발할 때 BIL 수익 기준은 직접 넣어주거나 크롤링하여 반영해야 한다.

BIl 개요

 

4) 해외 주식 EFA에서 KODEX 선진국 MSCI World만 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지만 마음에 안 드는 나라가 포함되어 있다면 취향에 맞게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방법이다.

 

요즘 퇴직연금의 L AA 전략으로 하고 있는데 종합 듀얼 모멘텀 전략으로 바꿔 볼까 생각 중이다. 또는 2개의 전략을 합쳐서 운영해볼까 고민이 많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