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전략 연구/투자의 기본 전략

금투세 걱정 없이 절세계좌[ 연금저축, 퇴직연금 IRP, 중개형 ISA ]로 국내 상장 해외 etf 투자 방법 추천

by AutoTrader 2024. 6. 13.
반응형

금투세 걱정 없이 절세계좌[ 연금저축, 퇴직연금 IRP, 중개형 ISA ]로 국내 상장 해외 etf 투자 방법 추천

2025년 1월 부터 금투세가 시행될 예정입니다. 제발 안되길 바라지만 그렇다고 손가락 빨고 있을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금투세 걱정 없이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찬찬히 여러번 봐주시기 바랍니다.

 

1. 금투세 적용 후 과세변화

금투세를 간단히 설명하면 그동안 주식과 채권의 시세차익은 비과세였는데 여기에 세금을 부과하겠다는 법입니다. 2025년 금투세가 적용되면 일반계좌에서 거래할 경우 아래 표와 같이 세금이 부과됩니다.

구분 기본공제 기본공제 초과 배당소득세
국내주식 5,000만원까지 3억까지 : 22% 과세
3억초과 : 27.5% 과세
15.4%
국내 ETF 5,000만원까지 3억까지 : 22% 과세
3억초과 : 27.5% 과세
15.4%
국내상장해외ETF 250만원까지 3억까지 : 22% 과세
3억초과 : 27.5% 과세
15.4%
해외 직접 투자
(ETF + 주식)
250만원까지 3억까지 : 22% 과세
3억초과 : 27.5% 과세
15.4%
채권 250만원까지 22% 과세 15%

2. 일반계좌 VS 중개형 ISA 계좌 비교

그렇다면 일반계좌 보다 절세계좌(연금저축, 퇴직연금 IRP, 중개형 ISA)에서 어떤 혜택이 있는지 아래표로 비교하시고 꼭 절세계좌에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해외 직접 투자는 절세계좌에서 불가능합니다.

구분 일반계좌 ISA 계좌
국내주식 & 국내ETF 시세차익 : 22~27.5%(5000만원 공제)
분배금: 15.4%
시세차익 : 비과세
분배금 : 9.9%(200만원 공제)
국내상장해외ETF 시세차익 : 22~27.5%(250만원 공제)
분배금: 15.4%
시세차익 : 9.9%(200만원 공제)
분배금 : 9.9%(200만원 공제)
채권 시세차익 : 22%(250만원 공제)
분배금: 15%
시세차익 : 비과세
분배금 : 9.9%(200만원 공제)

3. 연금저축과 퇴직연금 IRP 계좌 혜택

세제혜택 저율과세 및 분리과세(종합소득 합산 X) 혜택으로 세금을 아껴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연금저축과 퇴직연금 합하여 최대 납입금액은 18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이 중 세액 공제 금액은 두 계좌 합하여 900만원입니다.

구분 세액공제 금액 분리과세/저율과세 연금수령 요건
연금저축 600만원(일반 13.2% / 서민 16.5% 세액 공제) 연금소득세 3.3~5.5%
만55세 이상~ 70세 미만 : 5.5%
만70세 이상~ 80세 미만 : 4.4%
만 80세 이상 ~ : 3.3%
가입기간 5년 이상 &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 부과(연간 수령액 1,500만원 한도로 분리과세)
위와 동일
퇴직연금 IRP 300만원(일반 13.2% / 서민 16.5% 세액 공제) 연금소득세 3.3~5.5%
만55세 이상~ 70세 미만 : 5.5%
만70세 이상~ 80세 미만 : 4.4%
만 80세 이상 ~ : 3.3%

4.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으로 ETF 투자하면 좋은 점 (제가 느낀 점입니다.)

  • 한달마다 정액적립식으로 모아나가는 습관을 만들면, 절약하는 습관도 기를 수 있다. 나의 경우는 커피 2잔 안먹으면 ETF 한주 살수 있는 데라는 마음이 생겨 쓸데없는 지출을 줄인다.
  • 지수 추종하는 미국, 한국, 이머징마켓 ETF를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게 되면 글로벌 시장 국면에 익숙해질 수 있다. 초보 투자자에게 시장 국면에 익숙해진 후 개별종목을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개별종목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ETF 운영사에서 실적이 떨어져 탈락하는 기업들은 알아서 리밸런싱해 준다.
  • 개별종목과 레버리지 인버스 종목은 투자 불가하여 월 정액 적립식 전략으로 55세 이후에 찾아도 되는 여윳돈으로 욕심 없는 투자하게 된다.

5. 마음편한 ETF 퀀트 투자 전략 추천

투자 전략 연구 > 퀀트 투자 전략 카테고리에 여러 전략들을 소개하고 그 중 영구 포트폴리오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 전략은 장점은 매우 단순하고 쉽다는 점입니다. 한달 또는 1년에 한번 리밸런싱 하면 되기 때문에 가성비 또한 최고입니다. 시간이 없는 월급쟁이에게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찬찬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1) 영구포트폴리오 소개

2022.09.20 - [투자 전략 연구/퀀트 투자 전략] - 해리 브라운의 영구포트폴리오 소개 및 백테스트

2) 영구포트폴리오 수익률을 개선한 전략 소개

2022.09.21 - [투자 전략 연구/퀀트 투자 전략] - 영구포트폴리오를 개선한 LAA 전략(feat. 바우터 켈러)

3) 퇴직연금 계좌에서 국내 상장 해외 ETF로 영구포트폴리오를 구성해 보자.

2022.10.01 - [나의 투자 포트폴리오/[개인, 퇴직 연금] ETF 모델 투자] - 퇴직연금계좌에서 LAA 전략 포트폴리오 종목 구성하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