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세계좌[연금저축, 퇴직연금(IRP), ISA]에서 반드시 사모아야할 국내 상장 해외 ETF 추천](https://blog.kakaocdn.net/dn/biKOE8/btsHSqvJjas/7boFNrP7LyMLdSAzkYZ7Fk/img.png)
안녕하세요. 2024년 5월 기준에서 해외주식장은 불장이지만 국내장은 그렇지 못하고 있습니다. 2025년 금투세 도입이 선반영 된 것인지 국내장은 영 힘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절세계좌에서 국내 상장 해외 ETF로 해외시장에 금투세 걱정없이 투자하는 방법을 쓰게 되었습니다. ETF 고르는 방법에서 전략까지 정리하였으니 찬찬히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제 블로그에서는 계좌(전략)별 월수익률도 공개하고 있습니다.
1. 연금저축, 퇴직연금 IRP, ISA 계좌의 투자한도와 세제혜택과 투자 불가 ETF를 알아보자.
구분 | 투자한도와 세제혜택(개정) | 투자 불가 ETF | 비고 |
퇴직연금 IRP | - 연간 투자 한도 IRP, 연금저축 합산 1,800만원 - 연간 세액공제 한도 IPR연금저축 합산 최대 900만원 연금저축만 가입시 최대 600만원 공제율 12%이며, 총급여 5500만원 이하의 경우 15% | - 인버스, 레버리지 ETF - 파생상품 위험평가액 40% 초과 ETF - 전체 자산 중 70% 이내 위험자산 투자 위험자산 : 주식형, 혼합형(주식비중 40% 이내) | 주식 70%, 채권 30%로 비중을 조절 |
연금 저축 | - 인버스, 레버리지 ETF | 위험자산 비중에 대한 제한이 없어 비교적 자유롭게 포트폴리오를 구성 가능 | |
중개형 ISA 계좌 | - 투자한도 연간 4000만원(최대 5년) - 세제혜택 운영수익 중 500만원 비과세 비과세 한도 초과 운용수익 분리과세 9.9% | - 제한 없음 | ISA에는 레버리지와 인버스, 선물 ETF에도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롱숏전략으로 운영이 가능 |
2. 절세계좌에서 “국내 상장 해외 ETF”로 금투세 걱정 없이 해외에 분산 투자 하자.
일반계좌에서 국내 상장 해외 ETF를 거래하면 매매차익과 배당소득에 대해 15.4의 세금을 부과한다. 2025년 부터 금투세가 적용 되면 해외 직투할 경우 250만원은 비과세이고 초과 수익에 대하여 22% 세금이 부과 된다. 따라서 절세계좌를 이용하여 투자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1) 연금저축, 퇴직연금(IRP) 세제혜택
- 연금저축에서 55세 이후 10년이상 분할상환 받게 되면 15.4%->3.3%로 세금이 감면 된다.
-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600만원 한도에서 연간 세액공제가 된다. 600만원 12%정도를 연말정산에 돌려 받게 된다.
2) ISA 계좌 세제혜택
- 삼성이나 KODEX 200 같은 국내주식과 국내주식 ETF는 일반계좌에서도 비과세이기 때문에 ISA계좌에서 투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2025년 금투세 도입 이후에는 국내투자도 ISA계좌를 활용해야 한다.
- ISA계좌에서는 투자수익금 500만원까지 비과세 된다. 그 이상은 9.9%의 세금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국내 상장 해외 ETF”를 사모으는 것이 유리하다.
- 2025년 금투세가 도입되면 일반계좌에서 5천만은 기본공제 이며, 초과 수익은 22% 세금을 부과하게 된다. 소액 투자는 상관없지만 금액인 크다면 국내투자 또한 ISA계좌를 활용해야 한다.
3) 왜 해외 분산 투자를 해야 하는가
- 전에 쓴 분산 투자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어느 시장이 좋을지 우리는 알수가 없기 때문에 분산 투자해야 합니다.
2022.10.09 - [투자 전략 연구/투자의 기본 전략] - 성경에서 보는 투자의 지혜(자산배분 전략)
성경에서 보는 투자의 지혜(자산배분 전략)
우리가 사는 사회는 자본주의 사회입니다. 부자는 가진 돈과 시간 인프라를 투자하여 계속해서 돈을 버는 구조를 만들지만 가난한 사람은 자신의 시간을 남의 일을 하는 노동에 할애하고 적은
sys-stock.tistory.com
2022.11.05 - [투자 전략 연구/퀀트 투자 전략] - 60/40 자산배분전략(feat. 해리마코위츠)
60/40 자산배분전략(feat. 해리마코위츠)
2000년 전부터 솔로몬 대왕은 7~8개에 분산투자 하라는 말을 하였고, 랍비는 200년 전 사업, 부동산, 현금에 투자하는 전략을 말하였습니다. 신기하게도 2000년 동안 자산 배분 전략에는 변화가 없었
sys-stock.tistory.com
3. NAVER 금융에서 “국내 상장 해외 ETF” 고르는 방법
1) 거래량을 확인 하자. 거래량이 많아야 나중에 팔기 좋다.
- NAVER 증권 > 국내증시 > ETF > 해외주식 > 거래량 클릭

2) 위 그림에서 시가총액을 확인하자. 보통 거래량이 높으면 시총도 높다.
3) 펀드 보수를 확인하자. 수수료가 낮아야 한다. 하지만 거래량이 너무 적으면 안된다.
- NAVER 증권 > 국내증시 > ETF > 해외주식 > 종목 클릭 하면 아래와 같이 종목 정보를 확인 할수 있다.
- 빨간 박스의 펀드보수를 확인하면 동일한 미국S&P500에 투자하는 인덱스 펀드지만 TIGER 미국S&P500보다 KODEX 미국S&P500TR이 보수가 더 저렴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시총이나 거래대금이 TIGER 미국S&P500이 높지만 KODEX 미국S&P500TR의 거래대금과 시가총액도 높은편에 속한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수수료가 낮은 ETF를 선택해야 한다.


4. 절세계좌[연금저축, 퇴직연금(IRP), ISA]에서 반드시 사모아야 할 ETF와 간단한 전략
1) 가장 간단한 방법은 S&P 500을 월정액 적립식으로 사모으자. 100년동안 연복리 수익률이 8%이며, 이는 엄청난 수익률이다.
2) 워런 버핏이 유언과 같이 S&P 500에 90%, 나머지 10% 미국국채 투자 하자
3) 현재 내가 운영하고 있는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폴프폴리오 방법이다. 이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도록 하자. 월별 수익률도 공개하고 있다.
2022.09.12 - [나의 투자 포트폴리오/[개인, 퇴직 연금] ETF 모델 투자] - 월급쟁이는 꼭 해야 하는 ETF를 활용한 연금투자
월급쟁이는 꼭 해야 하는 ETF를 활용한 연금투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월급쟁이는 연금저축 계좌로 왜 ETF 투자를 꼭 해야 하는가에 관해서 이야기해 보려 한다. 우리 포트폴리오에는 부동산, 주식, 채권, 현물 등 다양하게 있지만 한국 사람이라
sys-stock.tistory.com
2022.09.14 - [나의 투자 포트폴리오/[개인, 퇴직 연금] ETF 모델 투자] - 연금저축계좌에서 올웨더 포트폴리오 종목 구성하기
연금저축계좌에서 올웨더 포트폴리오 종목 구성하기
연금저축계좌를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고 운영하면서 연 1~2번정도 리밸런싱을 하게 된다. 오른것을 팔고 떨어진것을 사서 처음 계획한 비율과 같이 맞춰주는 작업을 리밸런싱이라고 한다
sys-stock.tistory.com
4) 앞에 3가지 방법보다는 복잡하지만 ISA 계좌에서는 인버스ETF, 레버리지ETF도 투자 가능하기 때문에 모멘텀을 이용한 롱숏전략이 가능하다. 기본적인 모멘텀 퀀트 전략은 아래와 같다.
2022.10.21 - [투자 전략 연구/퀀트 투자 전략] - 오리지널 듀얼모멘텀 전략을 개선해보자(feat. 강환국)
오리지널 듀얼모멘텀 전략을 개선해보자(feat. 강환국)
이전 포스팅에서 게리 안토나치의 간단하고 쉬운 듀얼 모멘텀 전략을 소개하였습니다. 53년 동안 투자하였다면 원금이 7000배로 늘어나는 마법과 같은 전략입니다. 이전 글(오리지널 듀얼 모멘텀
sys-stock.tistory.com
'투자 전략 연구 > 투자의 기본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4년 6월) (0) | 2024.07.01 |
---|---|
금투세 걱정 없이 절세계좌[ 연금저축, 퇴직연금 IRP, 중개형 ISA ]로 국내 상장 해외 etf 투자 방법 추천 (2) | 2024.06.13 |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4년 5월) (0) | 2024.05.25 |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4년 3월) (0) | 2024.03.26 |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4년 2월) (0) | 2024.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