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전략 연구/투자의 기본 전략27 거래는 시작이 중요하다(feat. 혼마 무네히사) 캔을 차트와 사케다 전법의 창시자인 혼마 무네히사는 1717~1803년 에도시대 사람입니다. 데와의 텐구(귀신같은 존재), 거래의 신으로 불릴 정도의 매매술을 발휘한 상인이였습니다. 1700년대에 서양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쌀 선물시장이 있었다는 것도 놀랍지만, 그 시대에 캔들차트를 고안하고 매수매도의 시기를 판단하는 사카다 5법을 정리한 통찰력을 보면 데와의 텐구(귀신같은 존재)로 불릴 만 합니다. 삼위의 방책 (혼마 무네히사) 거래는 시작이 중요하다. 시작이 나쁘면 이후 반드시 어긋나게 된다. 2) 거래를 서둘러 진행하지 말 것이며, 서두르면 시작이 나쁜 것과 마찬가지다. 매수매도 공히 오늘만큼 좋은 시장은 없다고 생각될 때 삼 일을 기다려라. 이것이 방책이다. 1) 쌀의 유통을 생각하고, .. 2022. 10. 8. 인덱스펀드로 장기투자하면 부자된다. (feat. 존보글) 2021년 5월 정도부터 연금저축 계좌에 국내에 출시된 미국 ETF 상품을 사 모으고 있다. 그냥 연금저축 계좌로 미국 주식을 해야 세금을 덜 내고 세액공제도 받는다고 하여 시작하였다. 9월 쯤 존 보글의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라는 책을 읽고 인덱스펀드 투자가 개별종목 투자보다 훨씬 마음 편한 투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을 읽고 떨어지는 날마다 조금씩 또는 귀찮으면 월마다 한번에 월정액적립식으로 미국S&P500 비중을 가장 크게 하여 미국주식, 이머징주식, 채권 등의 ETF를 사 모으고 있다. 연금저축 계좌의 전략과 포트폴리오는 1년에 1~2번 정도 리밸런싱하고 있으며 관련 글은 아래와 같다. 연금저축계좌에서 올웨더 포트폴리오 종목 구성하기 연금저축계좌를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고 운영하면서 .. 2022. 9. 19. (1단계) 거시적인 국면 판단하여 투자 비중 조절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든 투자에서의 "1단계" 현재 국면을 판단할 수 있는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이론을 알기까지 아래와 같이 시행착오와 많은 시간이 걸렸고 이제는 흥분에 휩쓸리지 않고 거시적인 국면을 먼저 판단하고 투자 비중을 결정하려 노력하고 있다. 나의 투자이력 요약 간단하게 나의 예전의 투자 이력을 복기해보면 2016년도 중국 관련주 상따하다 개박살. 2017년도 차트 공부하여 전고점 뚫으려고 하는 삼성SDI로 수익. 2018년 초 부동산 투자로 주식 접음. 2020년 7월 정도 목돈이 생겨 현대차 삼성전자 카카오로 수익. 2021년 1월 새해를 맞이하여 그동안 투자한 금액의 3배 정도 더 들어감. 2021년 9월 정도 뭔가 잘못됨을 깨달음. 그나마 다행인 것은 2021.. 2022. 9. 14.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