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평균모멘텀스코어2

강세장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10월) 11월 초에는 핼러윈 전략에 맞춰 포트폴리오의 주식, 채권, 현금의 비중을 정리해야 합니다. 우선 11월 1일부터 11월 4일까지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하기 위해서는 국면을 먼저 판단해야 합니다. 1단계 국면 판단 후 나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입하여 주식 비중 및 납입 금액을 정리해 보려 합니다. 각 종목의 월별 데이터는 야후 파이낸스의 Historical Data에서 다운로드하고 있습니다. 다운로드한 데이터는 월초 데이터가 찍히기 때문에 이번 리밸런싱 일정도 11월 1일~11월 7일 사이로 잡아보려 합니다.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리밸런싱 후 작업 결과와 수익률 정리하여 글을 써볼까 합니다. 11월 1일(화) : [개인계좌] 성장가치(국내소형주) + 마켓타이밍 / [ISA계좌] 종합 듀얼 모멘텀 / [코인.. 2022. 10. 30.
강세장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9월)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을 국면 판단의 기본으로 참고하고 강세장과 약세장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을 소개하려 한다. 9월은 아직 지나지 않아 정확한 데이터가 없으므로 2022년 8월 말 기준으로 현재의 장세를 판단해 보도록 하자. 1. 평균 모멘텀 스코어 (feat. systrader79의 솔루션) *절대 모멘텀에서는 1년 또는 6개월 전과 비교하여 투자비중을 설정하지만 평균 모멘텀 스코어는 1~12개월을 다 확인하여 상승 스코어에 따라 투자 비중을 정하는 전략이다. 아래 표는 코스피 주가 월별 데이터이다. 기준금리 데이터를 보면 21년 5~7월 0.5 바닥을 찍고 8월에는 0.75로 오르는 것을 볼 수 있고 volume(거래대금)도 점점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코스톨라니의 달걀에서 "판다 국면"과 .. 2022. 9.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