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금투자3

연금저축계좌에서 올웨더 포트폴리오 종목 구성하기 연금저축계좌를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고 운영하면서 연 1~2번정도 리밸런싱을 하게 된다. 오른것을 팔고 떨어진것을 사서 처음 계획한 비율과 같이 맞춰주는 작업을 리밸런싱이라고 한다. 단순한 리밸런싱 작업에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으로 시장 국면을 판단하는 전략을 추가함으로서 더 나은 연복리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All Weather Portfolio)란? 물가와 경제성장을 조합한 4가지 상황을 말한다. 각 상황에서 어떤 자산이 유리한지 아래표와 같이 정리 할수 있다. 4가지 상황에 유리한 자산을 모두 구성함으로 리스크를 헷지하는 포트폴리오이다. 1. 물가 상승, 경제 좋음 2. 물가 상승, 경제 나쁨 3. 물가 하락, 경제 좋음 4. 물가 하락, 경제 나쁨 개발도상국 .. 2022. 9. 14.
(1단계) 거시적인 국면 판단하여 투자 비중 조절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든 투자에서의 "1단계" 현재 국면을 판단할 수 있는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이론을 알기까지 아래와 같이 시행착오와 많은 시간이 걸렸고 이제는 흥분에 휩쓸리지 않고 거시적인 국면을 먼저 판단하고 투자 비중을 결정하려 노력하고 있다. 나의 투자이력 요약 간단하게 나의 예전의 투자 이력을 복기해보면 2016년도 중국 관련주 상따하다 개박살. 2017년도 차트 공부하여 전고점 뚫으려고 하는 삼성SDI로 수익. 2018년 초 부동산 투자로 주식 접음. 2020년 7월 정도 목돈이 생겨 현대차 삼성전자 카카오로 수익. 2021년 1월 새해를 맞이하여 그동안 투자한 금액의 3배 정도 더 들어감. 2021년 9월 정도 뭔가 잘못됨을 깨달음. 그나마 다행인 것은 2021.. 2022. 9. 14.
월급쟁이는 꼭 해야 하는 ETF를 활용한 연금투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월급쟁이는 연금저축 계좌로 왜 ETF 투자를 꼭 해야 하는가에 관해서 이야기해 보려 한다. 우리 포트폴리오에는 부동산, 주식, 채권, 현물 등 다양하게 있지만 한국 사람이라면 부동산이 압도적으로 높다. 월급쟁이라고 한다면 저도 마찬가지지만 부채 포함하여 아파트 1채에 올인 되어 있다. 월급쟁이의 금융 포트폴리오는 막 시작 단계거나 시작했더라도 이게 맞는 건가? 누구 말을 들어야지 하는 고민을 많이 하실 것 같다. 평범한 월급쟁이의 이러한 자산 포트폴리오는 우리가 늙었을 때 월급을 줄 수 있는 자산이 아니다. 지금 당장 대박을 원하는 분들도 있지만, 평범한 월급쟁이가 투자하는 이유는 일을 더 이상 하지 못할 때 월 500만원 이상 따박따박 나오는 노후 준비를 하기 위함이 클 것이다. 평범.. 2022. 9.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