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퇴직연금계좌 LAA 전략 / 5월 리밸런싱
투자전략 : LAA(Lethargic Asset Allocation) | |
기대 연복리수익률 | 10% |
포함자산 : | -고정 자산 : 미국 대형가치주IWD, 금GLD, 미국 중기국채IEF -타이밍 자산 : 나스닥QQQ, 미국 단기국채SHY |
매수전략 : | - 자산의 각 25%를 미국 대형가치주, 금, 미국 중기국채에 투자 및 보유 ==========================기존 요건============================== - 자산의 나머지 25%는 나스닥 또는 미국 단기국채에 투자 ·요건1) 미국 S&P 500 지수 가격이 200일 이동평균보다 낮거나 ·요건2) 미국 실업률이 12개월 이동평균보다 높은 경우 -> 요건2는 미국 나스닥 100 지수 가격이 120일 이동평균보다 낮거나로 변경 요건1) 또는 2)를 TRUE 충족하면 미국 단기국채에 투자 ·그렇지 않을 경우 FALSE 나스닥에 투자 =============================================================== ==========================요건 변경============================== - 자산의 나머지 25%는 나스닥 또는 미국 단기국채에 투자 요건1) 미국 S&P 500 지수 가격이 120선 아래 60일선 위라면 나머지 총액중 1/4비율 나스닥투자 요건2) 미국 S&P 500 지수 가격이 120선 위라면 나머지 총액중 2/4비율 나스닥투자 요건3) 나스닥 지수 가격이 120선 아래 60일선 위라면 나머지 총액중 1/4비율 나스닥투자 요건4) 나스닥 지수 가격이 120선 위라면 나머지 총액중 2/4비율 나스닥투자 ·모든 요건 창족시 나머지자산 25% 모두 나스닥에 투자. ·ex) 요건 3개만 충족시 나머지 자산 25% 중 3/4 비중만 나스닥에 투자. =============================================================== |
매도 전략 : | 연 1회 리밸런싱(고정자산), 월 1회 리밸런싱(타이밍 자산) |
2. 요건 확인
현재(1월8일) 미국 S&P 500과 나스닥 모두 60일, 120일 이동평균선 위에 가격이 위치하여 비중은 그대로 입니다.
SPY 모멘텀 스코어(13월 말)
momentum_score = [1, 1, 1, 1, 1, 1, 1, 1, 1, 1, 1, 1]
주식비중 : 100%
현금비중 : 0%
3. 나의 퇴직연금계좌 LAA 전략 비중(3월)
구분 | 미국 ETF | 한국 ETF | 전략 비중 |
현재 비중 |
고정자산 (정적 자산배분) |
미국대형가치주IWD | KINDEX 미국WideMoat가치주 TIGER 미국 S&P 500 KODEX 200TR |
25% | 32% |
금 GLD | KRX금현물 ETF(퇴직연금) | 25% | 10% | |
미국 중기국채IEF | ARIRANG 미국채30년액티브 KOSEF 국고채10년 |
25% | 26% | |
타이밍자산 (동적 자산배분) |
나스닥QQQ | TIGER 미국나스닥 100 | 25% | 10% |
미국 단기국채SHY | KOSEF 단기자금 or 현금원화 | 0% | 20% |
4. 포트폴리오 수익률
LAA포트폴리오 또한 KOSPI보다 변동성이 낮습니다. 변동성이 낮은자산이 기하평균은 높습니다.
반응형
'나의 투자 포트폴리오 > [개인, 퇴직 연금] ETF 모델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계좌] LAA 포트폴리오 전략 리밸런싱(24년 6월) (1) | 2024.07.01 |
---|---|
[개인연금계좌] 올웨더 전략 포트폴리오 리벨런싱(24년 6월) (0) | 2024.07.01 |
[개인연금계좌] 올웨더 전략 포트폴리오 리벨런싱(24년 5월) (2) | 2024.05.25 |
[퇴직연금계좌] LAA 포트폴리오 전략 리밸런싱(24년 3월) (0) | 2024.03.26 |
[개인연금계좌] 올웨더 전략 포트폴리오 리벨런싱(24년 3월) (0) | 2024.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