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인 나스닥 모두 추세가 좋지 않습니다. 아래 차트를 1초만 봐도 상황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11월 중간 정도에 추세가 살아나는 것 같아 마이너스 변동성을 10%까지 인내하는 전략으로 바꿔보기도 했는데 결과는 썩 좋지 않았습니다.
1. 투자전략 점검
중간에 변동성을 10% 변경해보기도 했지만 그냥 조금씩 계속 까먹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략은 이전글을 참고하면 됩니다.
2022.10.31 - [분류 전체보기] - 코인 자동매매 수익률(10월)
코인 자동매매 수익률(10월)
10월 코인 장은 변동성이 크지 않은 박스권 시장이였습니다. 차트상으로는 나스닥QQQ보다 잘 버티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3개월(60일) 이동평균선을 약간 돌파한 상태라서 추세가 살아날
sys-stock.tistory.com
2. 11월 수익률
총 43000원 정도 까먹었습니다. 이럴 땐 아래의 whipsaw song을 들으면서 추세를 기다리도록 합시다.
3. 11월 승률
총 39번 매매했고 16번 수익이고 23번 손실을 보았습니다.
4.추세 매매자들을 위한 whipsaw song의 교훈(에드 세이코타)
1945년에 태어난 에드 세이코타는 MIT에서 전기공학, MBA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는 500만원 계좌를 12년만에 150억대로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그는 추세추종 전략을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해서 백테스트를 하였고 직접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거래를 하였다고 합니다. 투자가 잘안될때 이 노래를 들으면서 마음에 안정을 찾도록 합시다.
1) 첫번째 교훈 (반복되는 부분)
You get a whip and I get a saw, honey.
You get a whip and I get a saw, babe.
You get a whip and I get a saw.
One good trend pays for'em all.
Honey, trader, baby mine.
휩쏘(whipsaw)는 톱날 정도를 의미한다고 하는데, 주식시장에서는 급작스런 변동성과 함정 거짓 속임수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위 가사에서 너는 whip을 가지고 있고 나는 saw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냥 유머인것 같습니다.
한 번의 좋은 추세가 모든것을 보상한다고 할거야라고 노래하고 있습니다.
여기서의 교훈은 여러가지를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손실을 짧게 가져가야 추세가 왔을때 보상 받을수 있다는 것과 수익이 조금 났다고 팔지 말라는 것입니다.
2) 두번째 교훈
What do we do when we catch a trend, honey?
We ride that trend right to the end.
추세를 잡았을때 어떻게 해야 하나를 물어봅니다.
그것에 대한 대답은 끝까지 추세를 올라타야 한다고 합니다.
추세가 확실하다면 조금 먹고 팔지 말라는 것입니다.
3) 세번째 교훈
What do we do when we show a loss, honey?
We give that dag-gone loss a toss.
손실이 났을때 어떻게 하는지를 물어봅니다.
손실물량을 잽사게 다른놈에게 털어버리라고 합니다.
4) 네번째 교훈
How do we know when our risk is right, honey?
We make a lot of money and we sleep at night.
리스크가 적당한지 어떻게 아냐고 물어봅니다.
추세를 잘모르거나 확신이 없다면 현금화 시키고 자라는 이야기 입니다.
이부분은 혼마 무네히사의 "매수매도 공히 오늘만큼 좋은 시장은 없다고 생각될 때 삼 일을 기다려라."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5) 다섯번째 교훈
What do we do when the price breaks through, honey?
Our stops are in so there's nothing to do.
가격이 고점을 갱신하면 어떻게 하냐고 물어보고 있습니다.
우린 익절 매도 안하니깐 할일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냥 들고 추세를 다먹어야 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6) 여섯번째 교훈
What do we do when a drawdown comes, honey?
What do we do when it gets real big, babe?
What do we do when it's even bigger?
We stick to the plan and pull the trigger.
가격이 하락하면 어떻하냐? 그 하락이 커졌을때 어떻하냐? 하락이 더 커졌을 때는 어떻하지?
그때도 계획한 원칙대로 매매해야한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면 손실 원칙을 10~15%로 잡았는데 손실라인을 돌파하면 뒤도돌아보지 말고 튀고 원칙과 계획은 그대로 지키라고 말합니다.
7) 일곱번째 교훈
What do we do with a hot news flash, honey?
We stash that flash right in the trash.
엄청난 뉴스가 나오면 어떻하냐고 합니다.
뉴스는 뜨자마자 쓰레기통에 던지라고 합니다.
주변 소음에 휘둘리지 말아라는 교훈입니다.
반응형
'나의 투자 포트폴리오 > 코인 자동매매(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투자] 6개월 평균모멘텀 전략 (23년 8월) (0) | 2023.08.15 |
---|---|
[코인투자] 5일 이동평균 & 5일 거래량 상승장 + 변동성 돌파 + 변동성 조절 전략 (23년 1월) (0) | 2023.02.04 |
[코인투자] 5일 이동평균 & 5일 거래량 상승장 + 변동성 돌파 + 변동성 조절 전략 (12월) (0) | 2023.01.07 |
코인 자동매매 수익률(10월) (0) | 2022.10.31 |
파이썬 자동매매 결산 및 설명(9월) (0) | 2022.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