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매크로 지표로 국면 판단
1) 미국 실업률
2) 미국 제조업 및 비제조업 지수(PMI)
수치가 50을 넘는 경우 경기 확장을 나타내며, 50 미만은 경기 위축을 뜻함.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미국 비제조업:
3)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4)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CPI
11월 물가가 내렸네요. 주식시장에는 좋습니다.
5) 버핏 지수 (1월)
100보다 높으면 거품이 있다고 보며, 70~80이면 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계산식은 "Total Market/GDP Ratio (%)"로 간단합니다.
2. 평균 모멘텀 스코어
평균 모멘텀 스코어는 파이썬으로 구현하였습니다. SPY의 2022-12 ~ 2023-12월 초의 모멘텀 스코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momentum_score = [0, 1, 1, 1, 1, 1, 1, 1, 1, 1, 1, 1]

3. 신진오의 강세장 하락장 판단
모멘텀은 60일 SPY KOSPI 모두 60일 선 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고점이 돌파되면 완전한 강세장으로 볼수 있습니다.
4. 결론
매크로 지표를 확인 하였을 때 경기침체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연준이 한번더 금리인상 이후 동결로 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A1국면으로 꼭 정액적립식으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채권 금리가 다시 4.0%로 유지되어 주식장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국면이 기회라고 생각하고 정액적립식으로 꾸준히 모아 갑시다.
반응형
'투자 전략 연구 > 투자의 기본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4년 3월) (0) | 2024.03.26 |
---|---|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4년 2월) (0) | 2024.02.18 |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3년 12월) (1) | 2023.12.06 |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3년 11월) (0) | 2023.10.29 |
강세장 약세장(momentum)을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23년 10월) (0) | 2023.10.04 |
댓글